결국 모든 것은 연결된다.
제 커리어는 이전에 이야기드린 것처럼 복잡합니다.
앞선 글
https://url.kr/KH7UGg
https://url.kr/yepBNc
이런 저런 커리어들이 뒤섞여있습니다.
하물며, 남들이 알법한, 알만한 기업이나 제품을 내지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언제나 제가 맡은 일을 완료해왔습니다.
첫 회사에서는 캐나다지역의 신규 런칭을 완료했습니다.
두번째 회사에서는 신규 모드와 신규 맵, 무기에 대한 프로젝트를 모두 마무리, 성공적으로 런칭했습니다.
세번째 회사에서는 본사 회장님의 시연 버전을 완성했습니다.
네번째 회사에서는 출시를 이루었고, 운영 및 종료가 된 이후 이 인사이트를 토대로 차기작을 완성했습니다.
다섯번째 회사에서는 장르 전환 후 베타테스트가 가능한 버전을 완성했습니다.
여섯번째 회사에서는 IP를 제공해준 분이 만족할 알파빌드를 만들어 시연했습니다.
일곱번쨰 회사에서는 데이터 분석으로 신규 패키지를 출시하고, 새로운 데이팅앱의 아이디어를 구상, 이에 대한 결과물을 출시했습니다.
아홉번째 회사에서는 2개의 게임을 완성, 출시했으며 운영과 종료를 경험했습니다.
열번째 회사에서는 데카킬과 함께, 이를 아우를 3개의 웹서비스를 출시헀고,
열한번째 회사에서는 드랍되는 게임 속, 메타버스 1종을 출시했습니다.
열두번째 회사에서도 사이트를 재정비하여 팩타고라의 출시를 도왔고,
지금 회사에서는 Pixt AI 라는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어느 곳을 가나 저는 문제를 해결하고, 상황을 정리하여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남들이 말하는 큰 돈을 번 서비스.
남들이 말하는 유명한 서비스는 없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 조직에 들어가서는 아래와 같이 일했습니다.
조직에 녹아들며,
현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조율한다.
제품의 근간을 이해하고,
이 제품의 사용경험을 설계한 뒤,
거기에 맞게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더한다.
현 프로세스의 돌 중 치워야할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나하나 돌을 들어내,
결국 굴러가게 만든다.
조직이 굴러가게 만들고,
제품이 생산되어 나오며,
그것이 우리가 목표한 수준에 도달하게 만드는 것을 해왔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자신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저는 제 자신을
"구원투수" "소방수" 로 세일즈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바꾼 뒤, 분명 많은 기업들이 연락을 주셨습니다.
현재 제품이 나오지 않는 팀들마다 연락이 옵니다.
다만, 대부분 창업 당시 자금을 다 소진한 기업들에 연락이기도 했습니다.
잘 되지 않는 결과물. 남은 시간은 부족.
이 안에서 마지막 한방을 노리는 기업이 많았습니다.
저는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분들께,
제 경험과 생각들을 나누었습니다.
그것이 채용으로 이어지진 않더라도, 그 기업의 방향이 되기도 했고,
실무자들에게 어떤 가이드를 드리기도 했습니다.
결국 모든 것은 연결되고, 모든 것은 제가 그리는 넥스트 스텝으로 연결됨을 깨달았습니다.
그렇게 저는 오늘도 또 하나의 점을 찍습니다.
그리고 제 커리어를 풀어나가봅니다.
여러분의 꼬인 커리어도, 결국엔 연결되어 풀려나갈 것입니다.
혼자서 힘드시다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커리어
#꼬인커리어
#PM
#기획
#서비스기획
#게임기획
#취업
#이력서
#직무
김민균 ・ 2024.06.24 꼬인 커리어
[꼬인 커리어]
커리어는 참 재밌습니다.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저는 대표적으로 꼬인 커리어입니다.
다양한 장르.
게임기획자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게임의 장르가 매번 달라졌습니다.
MMORPG, FPS, MORPG, 시뮬레이션, SNG, 디펜스게임, MOBA, 캐쥬얼RPG, 모바일 전략, IDLE RPG.
게임에서 장르의 변화는 도메인의 변화에 가깝습니다. 그렇다 보니, 도메인의 전문가로 불리기도 어렵고, 그 장르에 디렉터 자리를 줄 수 없습니다.
다양한 직무.
심지어 게임 기획자 내에서도 다양한 직무를 수행했습니다.
시스템 기획, 컨텐츠 기획, 밸런스기획, 컨셉기획, 전투기획, 캐릭터 기획.
무엇하나 전문적으로 하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 몇몇 기업에서는 이를 근거로 제 연봉을 커트하거나, 총 경력은 짧지만, 해당 파트를 오래한 주니어를 육성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1인 기획.
그도 그럴 것이, 많은 기업에서 대표와 직접 일하거나, 소규모의 기획팀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수라 부를만한 분을 만난 것도 부사수가 생긴 일도 정말 손에 꼽습니다.
그렇기에, 실무자들과 관계가 좋고, 타 파트의 실무자가 성장한 사례가 있더라도 언제나 돌아오는 말은 같았습니다.
Q) 그래서 같은 기획자와 PM을 키워본 적이 있나요?
사실, 컨설팅과 강의를 하기에 이를 어필할 수 있겠으나, 부업을 선호하지 않는 것이 기업. 그마저도 어필할 수 없었습니다.
업종의 변경
그런데, 단순히 게임으로만 커리어를 쌓은게 아닙니다.
데이팅앱의 PM, 실시간 퀴즈쇼 PO, 지역기반 OTT 서비스기획, 지역기반 광고앱 서비스기획, 메타버스와 AI까지.
이거다 하고 내세울 수 있는 명확함이 없습니다.
직위의 변경
그마저도 단순 사원이 아니기도 했습니다. 작게는 3인 조직의 팀장으로 있었습니다. 팀장 대행으로 전 조직을 아우르기도 하고, 24인 조직의 셀 리더를 맡기도 했습니다.
그러니, 어느 기업에 지원을 하던지 꼭 따라오는 말이 있습니다.
Q1) 자신보다 경력 낮은 리더의 말을 잘 따를 수 있나요?
Q2) 자신이 볼 때 더 나은 프로세스가 있음에도 현 회사의 프로세스를 잘 따를 수 있나요?
그래서인지 탈락 사유 중에는
"팀장을 잡아먹을 것 같다."
라는 직접적인 답을 듣기도 했었습니다.
실패자의 낙인.
많은 것을 한 것처럼 보이는 제 커리어.
14번째 회사.
약 30개의 프로젝트.
다르게 말하면,
짧은 회사 경력. 누구나 알법한 서비스나 게임 없음. 큰 돈을 벌어본 성과낸 제품 없음. 이었습니다.
여기서 여러분에게 묻고자 합니다.
과연, 15년차의 14개 회사, 30개 프로젝트를 이행한 사람은 어느 정도의 몸값일까요?
그리고, 그 사람을 뽑아서 어떤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시나요?
그랬을 때, 오히려 더 낮은 연차, 우리 도메인과 우리 직무에 오래 있었던 사람을 뽑을까요? 아니면 제가 눈에 들어올까요?
제가 꼬인 커리어라고 말한 부분은 바로 이것입니다.
기업이 커질수록, 제품이 커지고 조직이 커질수록. 기업은 결국 파편화하여 이를 관리합니다.
그곳에는 각 분야의 각 직무의 전문가가 적합합니다.
저와 같은 다양성은 크게 도움되지 않습니다.
자연스레 저에게 오퍼가 오는 기업의 수가 적습니다.
그렇게 제 꼬인 커리어는 언제나 Next를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의 저는 꼬인 커리어에 좌절하고 있을까요?
이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다음 글을 기다려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커리어
#꼬인커리어
#시니어
#기획
#기획자
#게임기획자
#서비스기획
#PM
#IT
#게임
#취업
#직무
김민균 ・ 2024.06.23 포트폴리오에 사용한 도구만 적지 마세요.
많은 분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사용한 도구를 적어주십니다.
네, 너무 좋습니다.
그런데, 아이콘만 딸랑 있습니다.
사용해본 도구로 PPT, EXCEL, JIRA, MySQL 등등 적혀있습니다.
그런데, 이 아이콘을 왜 넣는지 아시나요?
이것을 사용해본 적 있다. 라는 표현일까요?
사용해 본 적 있다는 것으로 우리는 이 사람을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저는 Excel 을 사용합니다.
Excel 로 기획서도 썼고, 일정관리를 위한 WBA나 함수처리를 통한 시뮬레이터도 짤 수 있습니다.
그런데, Excel 에 VBA를 다루지 못합니다.
여기에 Lua를 연동했을 때도 다루지 못합니다.
만약, VBA를 다뤄야하는 회사에서는 저 Icon만 보고 무엇을 기대할까요?
그리고, VBA를 다룰 수 있는지 없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내가 사용해본 도구를 적는 이유는,
내가 이 도구들을 이용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고자 함입니다.
JIRA에 이미 구축된 워크플로우와 티켓발행, 타임라인 관리만 해본 사람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닙니다.
JIRA를 활용해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스프린트 구축, 각종 자동화 연동을 통해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사람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경우, 이 Icon 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아니, Icon 만 남겨서 이 정보가 누락된 이력서가 늘어나기에 점점 이 가치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명심하세요.
사용해본 도구의 Icon 만으로는 어필할 수 있는 정보가 없습니다.
이것으로 무엇을 할 줄 아는지 알려주는 것.
그것이 무기가 됩니다.
#취업
#이력서
#경력기술서
#포트폴리오
#도구
#기획
#게임기획
#서비스기획
#PM
김민균 ・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