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_읽는_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학문과 저술이 크게 인정받지 못했을 때에도 불행해하지 않았다고 한다. 타고나기를 자존감이 높았던 그는 자신이 타고난 천재적잉ㄴ 재능과 능력에 자부심이 있었다. 그는 자신의 천재성이 후대에 평가받을 것이라고 위안했다고 한다. 이 대목에서 '타고나기를 자존감이 높았다.'가 눈에 들어왔다. 그렇게 최근에 여러사람들을 만나 대화를 해보면서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확실히 그들이 대화에 참여하는 태도나, 사용하는 언어 선택의 수준이나 남다르다는 것을 느낄 때가 많다. 거기에 겸손하기까지 한 분들은 인격적으로 매우 호감을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결국 생각의 귀결은 타고나기를 자존감이 높으려면.. 부모가 적절하고 올바른 태교를 적시에 잘 이행했을까.. 유년시절에 나고 자란 환경이 영향을 미쳤을까.. 자녀를 키우는 부모는.. 그저그런대로 아이들이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성장해주길 기대한다.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