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ed to post
✨일을 택하는 사람들 1. 결혼 전에 아예 일을 해 본 경험이 없거나, 결혼 전에 일을 했지만, 결혼, 출산 등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은 노동시장을 떠나 집으로 돌아와 출산을 한다. 2. 그러나 결혼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 일을 하고 있는 여성들이나, 경력단절을 피하고 일하다가 나중에 일을 그만 둬, 지금은 일을 하지 않는 여성들은 오히려 자녀를 덜 낳고 있다. 이들은 출산과 일, 두 가지 가운데, 출산보다는 일을 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3. 연령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젊은 연령구조를 지니고 있고, 교육수준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으며, 현재 일하고 있는 직종도 관리직, 전문직 혹은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이 ‘노동지속형’*이었다. *결혼 전에 일함-경력단절 없음-계속 지금도 일함 4. 일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을 지속하는데 가장 큰 ‘위험’인 출산을 가능하면 피해야 한다. 그래서 ‘노동지속형’에 속한 여성들은 출산을 연기하면서 무자녀 상태로 머물거나,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에도 한 명의 자녀를 출산하고, 일부의 여성들은 2명 혹은 그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게 되는 것이다. 5. 그러나 1명 혹은 그 이상의 자녀를 출산해도 일을 그만두게 되는 경우 지불해야 하는 기회비용이 크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일과 가정을 병행하려고 노력하고, 그러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돌봄자원을 동원하여, 일과 자녀양육을 병행하는 것이다. 은기수(2018) “한국 기혼여성의 일의 연쇄와 출산력” 중에서 1.8명. 저출산고령위원회가 2024년에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물었다. 몇 명의 자녀를 낳고 싶은가요? 이때 답의 평균이 1.8명이었다. 2024년 2분기 기준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이 절반도 못 미치는 0.71명이다. 어째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 기회비용은 사람들의 의사결정에 큰 힘을 발휘한다. 출산 의사결정도 마찬가지다. 은기수(2018)이 밝힌 것처럼, 여성들, 특히 소득이 높고 젊은 여성들에게 기회비용은 무시할 만한 수준이 전혀 못 된다. 특히 첫째 출산 연령이 34세 정도로 높아지고 있는 요즘, 그 나이 때 여성들의 소득은 점점 오르는 추세임을 이미 여성 스스로 감지한 때라면? 지금 상황과 더불어 미래에 내가 얻을 잠재적인 혜택까지 다 기회비용에 들어간다. ”만족할 만한 일자리를 갖고 있다면!“ ”결혼 후에도 일에 집중할 수 있다면!“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가 75%가 넘는다. 국가적인 수준에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이 지점을 골몰히 고민한다. 그리고 정책을 만들고 운영한다. 한편, 출생률이 떨어지고 인구 구조가 바뀌는 게 비단 국가의 문제에서 그칠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저는 팀장이 되기 싫어요. 우리 팀 후배가 어떤 요청을 해도 배경 설명까지 다 해주길 기대해요. 저는 꼰대가 되기 싫은데 자꾸 그 친구의 이런저런 면이 걸려요. 저뿐만 아니라 동료들이 다 인사팀에 부탁해요. 팀장 시키지 말라고. 팀장 시킬 거면 1인팀 하고 싶다고요.” 이 말은 회사에서 이미 인구 구조 변화가 전례 없던 상황을 목도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팀장만 문제일까? 은기수(2018)이 보여준 경력단절은 위의 말보다도 더 오래 이어져 내려온 이슈다. 노동지속형 여성은 학력이 높고 고소득 직군에 종사하는 젊은 세대다. 위에 발췌하지 않았지만, 저소득에 교육 수준이 낮은 고연령 세대는 경력단절을 경험했든 아니든 간에 ‘대체가 쉬운’ 일에 종사한다. 즉, 일을 구하기 쉽지만 그만큼 다른 이들로 본인의 일자리가 대체되기도 쉬운 직종에서 일한다는 의미다. 직책도, 직군도, 소득도, 나이도, 학업도 뭐 하나 빼놓고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나는 이 일을 하기 싫은데,’ ‘내가 나가도 누군가 금방 들어올 텐데, 이 자리를 어떻게든 버텨야지,’ ‘저 사람이랑은 진짜 같이 일 못하겠다,‘ 이런 순간이 자꾸 구성원을 자극하면 조직문화에 미세한 금이 가다가 종국에는 완전히 조직문화가 깨져버릴 수 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 퇴직, 연금, 요양원과 같은 변화가 내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내 일상에 끈끈하게 달라붙은 인구 이야기가 다소 멀리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제도, 정책, 기관 모두 이 임팩트를 강하게 맞고 있거나 맞을 예정이다. 그렇다면 이제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우리 회사 구성원은 어떻지? 우린 어떻게 해야 하지? 그렇지 않으면 어떤 결과가 생기지?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