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카를로 로벨리’라는 이탈리아의 이론 물리학자이자 과학 작가의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물론 진성 문돌이인 저로써는 이 책에 나오는 과학적 사실을 전부 이해할 수는 없었습니다만, HR에서 필요한 과학적 탐구의 자세,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유 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책이라 추천드립니다. 로벨리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부터 자신의 주요 분야인 현대 물리학, 그중에서도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하여 이 세계를 설명하고자 하는 ‘루프 양자 중력 이론’을 중심으로 물리학의 역사적 발전과 함께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게 되었는지를 친절하게 설명해 줍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고대 그리스 시대에 모든 것이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던 데모크리토스를 시작으로, 뉴턴의 고전 물리학,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발전 과정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로벨리 작가는 이 책을 통해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물리학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으며, 그 발전을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시각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친절하게 설명해 줍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고대 그리스 시대에 모든 것이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던 데모크리토스를 시작으로, 뉴턴의 고전 물리학,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발전 과정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이후엔 작가의 주요 분야인 현대 물리학, 그중에서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하여 이 세계를 설명하고자 하는 ‘루프 양자 중력 이론’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 나갑니다. 작가는 물리학의 최신 이론이 어디까지 와있는지, 앞으로의 물리학은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하며, 어떤 부분에서 새로운 발견이 가능한지 설명합니다. 또한 작가는 단순히 과학적 사실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학적 발견 안에서 엿볼 수 있는 철학적이고 인문학적인 사유까지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양자역학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 작가가 설명하는 사물의 본성에 관한 3가지 측면(입자성, 비결정성,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흥미롭습니다. 작가는 ①모든 것이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세계 안의 정보의 양은 (계산할 수 없을 만큼 많지만) 유한하며 [입자성], ②작은 입자들이 끊임없이 요동치고 있기 때문에 세계는 엄격한 법칙에 의해서 기술될 수 없고 확률적·통계적으로 기술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비결정성]. 그리고 ③입자 단위에서는 입자 자체의 특성이 아닌 하나의 입자와 다른 입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만 정의할 수 있으며, 관계 속에서가 아니고서는 그 어떠한 실재도 없다고 말합니다 [관계성]. 각각의 특성들을 통해 HR적 통찰을 이끌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도 연결될 수 있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객관적인 과학적 사실뿐만 아니라 과학이론의 발전 과정과 위대한 과학자가 가진 아이러니 속에서도 재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자기학이라는 학문의 발전 과정에서 노력의 천재와 진짜 천재가 협업한 모습, 현대 물리학을 이끄는 쌍두마차라고 할 수 있는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의 철저한 이질성,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을 탄생시킨 아인슈타인이 말년에 양자역학을 부정했던 사실 등 세상의 아이러니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작가는 불확실성이 가득한 세상 속에서 과학적 사고를 한다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면서 책을 마무리합니다. 작가는 과학이 어떠한 문제에 대해 확실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찾아낸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답이 무엇인지는 알려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과학을 한다는 의미는 하루하루 자신의 한계와 씨름하면서 알 수 없는 수많은 것들과 할 수 없는 일들에 맞서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말처럼 알 수 없고, 할 수 없는 것이 가득한 세상에서 구성원들을 위해 회사의 문제에 맞서 밤낮으로 고민하는 HR 담당자분들 모두 과학자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문과인 저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 지식과 더불어 HR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통찰과 아이디어, 그리고 HR 담당자로 일하는 것에 대한 위로까지 얻어갈 수 있는 이 책을 추천합니다!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