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ed to post

[스타트업에서 레벨제도를 고민한다는 것] 1. 시스템과 레벨제도 스타트업처럼 일한다는 것, 그것은 단순히 그렇게 (각자의 머릿 속에 가진 생각과 같이) 일한다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닐 거라 생각합니다.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을 비추어본 결과 그렇게 일하기 위해 서로가 서로를 아는 것, 서로의 배경을 알고 이에 기반하여 이해하는 것, 그리고 상호 신뢰할 수 있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업과 제품이 다각화되고 인원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운영에 한계가 오게 됩니다. 그러면서 점점 사람 중심의 인사가 하나씩 시스템에 위임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하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의 위임은 경영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도 경영자의 기준으로 동일하게 움직이고 있음을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생각을 최대한 유사한 기준 아래에서 움직이게 해주죠. 레벨제도는 경영자와 직원 상호가 서로를 모르는 상황에서 성과와 역량에 대한 기대치를 어느 정도 합치시켜주는 데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레벨제도에 대한 고민 레벨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처음 스터디를 하다가 들던 생각이, ‘직급 제도와 다른게 뭐지?’였습니다. 사원을 L3라 부르고, 필요에 의해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 외에 크게 다른 점을 못 느꼈었습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레벨 제도와 직급 제도는 형태만 보면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제도를 운영함에 있어 제도가 가고자 하는 방향성과 운영의 기준이 다르다 보니 동일한 Case에서도 다르게 작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게 되었고 외부의 사례 역시 국내보다는 해외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실제 운영에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 것 같습니다. 꼭 그렇지는 않지만 KPI와 OKR이 형태에 있어서는 꽤나 유사하다는 점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결국 레벨 제도는 나름의 가치관을 가지고 운영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직급 제도처럼 운될 수밖에 없는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기대치의 합치 레벨 제도에서 기대치의 합치는 어떻게 일어나게 될까요? 레벨별 기대 역량에 대한 가이드 (Career Map - 이전의 역량 사전)가 마련이 되어있다면, 직원들은 다음 레벨도 가기 위한 1차적인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레벨에 따른 본인에게 회사가 기대하는 수준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는 적절히 다음 레벨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기대가 있다면 목표의 설정, 평가의 수용성에 1차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른 보상에도 어느 정도 일관성 있는 제도 수립이 가능하게 됩니다. 평가도 ‘절대 기준’을 바탕으로 비로소 절대평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직장인의 70%가 고성과자라고 생각한다는 결과도 있는 것처럼, 기대치의 합치는 동기를 부여하고 성과를 측정하는데 꽤나 큰 부분이 되는 것 같습니다. 4.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레벨 제도를 통해 한 가지 더 얻을 수 있는 점은 역량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바뀝니다. 특정되지 않거나 직책 혹은 그에 준하는 직함 (부팀장급, 파트장급)으로 진행되던 커뮤니케이션이 명확해지다 보니 해당 직무를 잘 아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변경됩니다. 특히 자회사 혹은 해외의 작은 지사가 있는 경우 역할의 크기인 직책과는 별개로 그 사람의 역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죠. 이외에도 채용, 평가, 보상 등에서 다양한 기준으로 활용되다 보니 각 제도를 관통하는 Standard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5. 레벨제도 운영을 위한 사전 조건 레벨 제도를 운하면서 수반되는 여러 가지 제도들(성과관리/보상 및 이를 위한 1on1 등)은 모든 권한을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일부 기능들은 ‘리더’의 역량에 맡기고 있습니다. 즉, 리더의 역량이 같이 성장하지 않으면 완벽하게 운영되기는 어려울 거라 생각합니다. 스타트업은 기성 기업과는 다르게 사람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은 만큼 (레벨 제도 도 마찬가지), 무엇보다 가장 신경 써야 할 것은 리더의 역량 향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6. 처음 알게되었던 참고할만한 사이트 - https://www.holloway.com/s/trh-job-titles-levels-fundamentals-for-software-engineering - https://dropbox.github.io/dbx-career-framework/ic2_machine_learning_engineer.html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