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ed to post
[조직문화 담당자를 맡게 된 당신을 위해] 1편: 조직문화 담당자가 기획 시 참고할만한 Know-how 원티드 앰버서더 8기 창소영 안녕하세요. 원티드 앰버서더 8기 창소영입니다 :) 오늘은 1편 "조직문화 담당자가 기획 시 참고할만한 Know-how"를 공유드리려 해요. 1️⃣ 조직문화, 그냥 MZ 감성 이벤트 아닌가요? 😦 요즘 조직은 구성원의 연령, 성별, 지역, 라이프스타일까지 정말 다양해졌죠. 그만큼 조직문화 담당자 입장에서는 매번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해집니다. 그런데 아이디어, 어디서 얻고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을까요? 사실 모든 조직문화 담당자의 바람은 비슷합니다. 구성원이 진심으로 공감하고 참여하는, 우리 조직만의 의미 있는 활동을 만들고 싶죠. 하지만 유튜브 숏츠, 챌린지 등 자극적인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에서 구성원의 주의를 끌고, 또 가치까지 전달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일수록 중요한 건, 아이디어를 선별하는 안목과 실행하는 기준입니다. 단순히 남의 것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회사에 정말 ‘맞는’ 활동인지 판단하는 감각이 필요하죠. 오늘은 그런 고민을 하고 계실 조직문화 담당자분들께, 기획의 기준점과 접근 방식을 정리해 드릴게요. 2️⃣ 기획 전, 꼭 세워야 할 두 가지 기준 ⚖ ① 구성원 페르소나 설정하기 * 조직문화 활동은 ‘누구를 위해’ 하는 걸까요? 대상이 명확해야 메시지도, 콘텐츠도 달라집니다. * 대상 설정 팁 👇 □ 과거 활동 데이터를 살펴보기 (성별, 연령, 지역 등 인적 정보) □ 어떤 행사에 반응이 좋았는지 체크 (DM, 후기, 책 신청 등) □ 가장 유용했던 건 조직문화 진단 서베이였어요! 아직 없다면 꼭 전사적으로 한번쯤 진행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정성 데이터를 모아보면 이런 걸 알 수 있어요: □ 어떤 활동에 왜 반응했는지 □ 만족 또는 아쉬움의 이유는 무엇인지 □ 어떤 활동을 원하고 있는지 이런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우리 조직의 페르소나’가 그려집니다. ② 지표 설정하기 좋은 활동은 잘 만든 지표가 뒷받침합니다. 지표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조직문화 만족도 지표: 서베이 결과, 피드백, 후기 등 * 활성화 관련 지표: 참여자 수, 좋아요 수, 조회 수 등 ❗ 주의: 지표가 많다고 좋은 건 아니에요. ✔ 목표와 연결되지 않은 지표는 방향을 흐릴 수 있어요. ✔ 정량/정성 지표를 사전에 정의하고 팀 내 공유하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 전사 차원의 방향성과 얼라인되는지 꼭 점검해보세요. (이건 조직문화 담당자 평가에도 반영됩니다... 😅) 3️⃣ 구성원이 반응하는 활동 메시지 만들기 기획 단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제가 만든 콘텐츠에 좋아요 수가 늘고 구성원이 댓글로 반응해주던 그때였어요. ‘아, 정말 내가 구성원과 연결되고 있구나’를 실감했죠. 페르소나와 지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나면, 어떤 메시지가 효과적인지 자연스럽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 회사의 핵심 가치가 녹아 있는지 ✔ 구성원이 ‘나를 위한 활동’이라고 느낄 수 있는지 ✔ 구성원이 공유하고 싶어 할 만한 무언가가 있는지 이런 질문을 떠올리며 메시지를 구체화해보세요. 기획은 결국 ‘연결’의 시작입니다. 조직문화 담당자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활동이지만, 우리 회사만의 이유와 우리 구성원만의 공감이 담긴 활동은 더 특별하죠. 오늘의 기준점이 앞으로의 기획에 작은 나침반이 되기를 바랍니다. 📎 2편: 조직문화 담당자가 레퍼런스를 찾는 Know-how https://www.wanted.co.kr/community/post/104929 조직문화 담당자 모두 모두 화이팅! 🥳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