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ed to post
UX Writer 가 없는 조직에서는 UX Writing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런 고민을 안고, UX Writing 세미나를 총 3회 들었는데요, 정말 유익했어서 여러분께 한가지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득 프레임과 손실 프레임' 사람들은 이득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 이득 프레임 문장: 현금으로 구입하시면 1,000원의 할인 혜택을 드립니다. - 손실 프레임 문장: 카드로 구입하시면 1,000원의 추가 요금이 붙습니다. 이 두 상황에서 현금 구매를 할 확률은 손실 프레임 문장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이를 심리학 용어로 '손실회피 편향'이라 합니다. 구독을 취소하는 상황에 적용해봅시다! 사진과 같은 문구를 손실회피 편향을 적용해서 고쳐봐주세요 :) 정답이 궁금하면 댓글 남겨주세요 :)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

아주 흥미로운 분석이네요! UX Writing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느낄 수 있어요. 이득 프레임과 손실 프레임에 대한 예시까지 잘 설명해주셨네요. 이런 유익한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사람들은 가장 많은 것을 얻기보다는,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손실회피 편향' 을 구독 취소 상황에 적용해볼 수 있다면, 어떻게 변화할 지 굉장히 궁금하네요 :) 정답이 궁금해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