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직까지 남은 기간 약 100일. 사실 아기를 낳기 전에 주어진 한 달과 신생아 시기를 지나 어느정도 아이 케어에 능숙해졌을 때 즈음엔 슬슬 잃어버린 감을 되찾기 위해 여기저기 시장조사도 다니고 세미나나 마케팅 모임에도 참여해 볼 생각이었다. 그런데 출산 전 한 달은 무거워진 몸을 돌보며 언제 나올지 모르는 아기를 대비해(?) 마음을 가다듬기에 바빴고, '아이 케어'는 몇 년이 지나도 능숙해지기 어려울 것 같다는게 내 결론이다. 어쨌든, 마인드 셋을 다시 하기 위한 워밍업으로 그동안 내가 재미있게 했던 프로젝트들을 복기해보려고 한다. - 가장 기억에 남는건 역시 오픈 프로젝트. 브랜드 이름만 달랑 주어진 상태에서 멋지게 등장해야 했는데,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재미가 있었다. 타겟을 정하고 포지셔닝을 구축하고 키 프레이즈까지 만든 후엔 우리의 이야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가 관건이었는데 남들은 '우린 이런게 강점이야'를 외칠 때 반대로 우리는 약점을 극복하는 쪽을 택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고 그냥 약점처럼 보이는 것을 잘 포장하면 오히려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포인트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었다. 오프라인이 베이스인 브랜드였기에 해당 스팟이 최종 목적지가 될 수 있도록 그 주변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당시 떠오르는 인플루언서와 협업해 영상도 제작하고 주 타겟층이 방문할법한 커뮤니티에도 힘을 실었는데 그저 허공에 둥둥 떠다니던 아이디어를 유형의 무언가로 만드는 작업에서 많은 희열을 느꼈다. 관련 이벤트도 크게 운영했는데 미션이 난이도가 조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업계 타 이벤트 대비 많은 인터렉션이 발생해 내부적으로 꽤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아쉬웠던 점도 있었다. 한정된 예산으로 인해 일부 서비스들은 중간에 중단시켰어야만 했는데 중장기적으로 브랜드 이름을 각인시킬 수 있는 좋은 툴이었기에 특히나 아쉬웠다. 약 5개월동안 쉼 없이 달려왔던 내 첫 번째 바이럴 프로젝트 브랜딩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계기여서 특별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