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ed to post
[5년 전에 만든 캐릭터가 인형이 되어 돌아왔다.] 오늘 아침 눈을 뜨니 조그마한 택배가 도착해 있었습니다. 택배를 열어본 저는 2024년 중 가장 행복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택배 안에는 제가 5년 전 공모전에 출품했던 모교 홍보용 캐릭터가 귀여운 인형으로 제작되어 담겨있었습니다. '이화'의 배꽃을 형상화해서 디자인했던 '화여니즈'는 그 해 열린 모교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게 되었지만, 학교의 공식 마스코트 캐릭터가 된 것도 아니었고, 그저 매해 열리는 공모전의 수상작 중 하나였기에 기억하는 사람은 많이 없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짧은 시간동안이나마 제가 캐릭터를 통해 동문들에게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이 아이들이 제 역할을 다 했다고 생각하고, 마음 속에 묻어두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5년, 이 캐릭터들이 모두에게서 잊혀졌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만한 시간이 지난 올해 23학번🐣 후배님으로부터 공손한 메일을 받게 되었습니다. 제가 제작한 캐릭터를 인형 키링으로 만들어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싶다는 내용의 메일 가운데에는 아래와 같은 문장이 적혀있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화여니와 새로니, 조려니 모두를 알 수 있도록 공동구매를 성공적으로 진행시키고 싶습니다." 가슴이 뭉클한 한편, PM으로서의 저는 의아할 정도로 신기했습니다. 보통 캐릭터든 이야기든 서비스든, 아무리 잘 만들어졌어도 오랜 기간 업데이트가 없고 홍보도 없으면 잊혀지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그런데, 5년 전 만들어진 이후, 달리 활용이 되지도 않았고, 공식 캐릭터로 지정되지도 않았으며, 공식적인 업데이트도 없었고 홍보도 하지 않았던 창작물을, 어떻게 이 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이 잊지 않고 사랑해주고 있는 것인지, 더 나아가 얻는 이익도 없이 자발적으로 노동을 해서라도 널리 알려주고 싶어하시는지 너무나 놀라웠습니다. 이게 어떻게 된 일인가 학교 커뮤니티에 들어가보니 잠수 탄(?) 화여니를 그리워하는 구성원들의 글들로부터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구성원들에 대한 애정이 묻어나서 따뜻하고 위로가 돼." "컨셉이랑 스토리가 정말 감동이었는데. 처음 읽었을 때 눈물 났어." "왜 많이 활용되지 않는거지?" 시장규모와 고객 세그먼트를 분석하고, 고객의 니즈와 취향에 꼭 맞게 전문적인 방법론으로 제작한 제품들로는 어려운 일이, 전문적인 고객 조사나 데이터 분석, 예측, 기획안, 아무것도 없이 그저 보아줄 사람들에 대한 진심 어린 애정만으로 가능해졌다는 것에서 새삼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실무를 진행하면서 정량적인 예측과 데이터의 중요성은 하루가 다르게 느끼게 되었지만, 그 외의 '진심', '고객에 대한 애정'과 같은 단어들에 대해서는 점차 집중하지 않게 된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조사 결과와 데이터로는 알 수 없고 진심을 다해 애정을 가졌을 때 비로소 보이는 것들에 최근 나는 얼마나 집중하고 있었을까? 서류를 넘어 진심으로 사용자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보려고 했는가? 이것들이 때에 따라서는 어떤 완벽한 데이터 분석도, 어떤 훌륭한 마케팅도 넘어서, 소비자가 그 제품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일하고 알리려고 하게까지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사실을 오늘 감사히 받은 작은 인형을 통해 느끼며 하루를 시작해봅니다 '나는 지금 만드는 프로덕트를 쓸 사람들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고, 내 프로덕트를 통해 그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진심은 무엇일까?' - 주니어 PM의 생각 한 조각 (4) https://brunch.co.kr/@clipkey/19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

원티드 소셜 사용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런 소중한 추억과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많은 동문 분들이 화여니를 기억하고 사랑해주신 것, 그것만으로도 얼마나 값진 작품이었는지 느껴집니다. 작은 인형을 보며 느끼신 '진심과 애정'이란 감정이 분명히 다른 사람들에게도 전달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원티드 소셜에서 더 많은 좋은 이야기들을 기대할게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