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기업의 평가는 어디로 가야하나?
과거 80년대 압축성장기 시절부터 국내 기업들의 평가에 대한 고민은 늘 있어왔다.능력주의 인사관리에 대해 고민하던 80년대부터 90년대 글로벌화가 되면서 글로벌 인사관리에 대한 고민과 함께 무능/문제 사원에 대한 관리 이슈, 다면평가제도, 고과자 훈련에 대한 고민도 시작되었다. 90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고용조정과 목표관리에 의한 업적평가(MBO), 성과주의 인사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도 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대에는 저성과자 관리, 절대평가 등 기존 성과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과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고민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시대적 흐름에 따라 발전해온 평가제도의 주요 이슈를 고려할 때 COVID-19 팬데믹 이후인 지금 우리는 과연 평가제도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해야 할까?먼저 COVID-19이 가져온 환경변화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올해부터 일상화되고 있는 재택근무라는 근무환경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 많은 외국계 기업들은 COVID-19가 확산되기 시작한 연초부터 계속 재택근무를 운영해오고 있고, 국내 제조기업들도 일정기간 일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그 동안 일하는 방식을 유연하게 바꿔보자고 Smart Workplace도 도입하고, Mobile Office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들였지만 실패했던 변화를 COVID-19가 강제로 정착시키고 있는 형국이다.재택근무라는 상황은 업무 수행에도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다. 대표적으로 커뮤니케이션 Cost 증가를 들 수 있고, 일상적인 수시 업무에 대한 관리가 어렵다는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는 결국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평가자의 이해를 어렵게 하여 자연스럽게 결과 중심 평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최근 재택근무에도 불구하고 업무에 큰 지장이 없다고 느끼는 기업들이 오해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현재의 재택근무 상황은 이미 오프라인 근무를 통해 Social Capital이 형성된 직원들이 잠시 원격근무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재택근무가 장기화되거나 이동으로 인해 Social Capital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택근무를 수행하게 될 경우 업무 수행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고,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협업이 필요한 상황을 맡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재택근무 장기화는 특히 직원들이 비대면 상황에서도 어떻게 협업하고 Social Capital을 쌓아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따라서 평가자들의 코칭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디지털 역량 확보를 통해 최근 변화된 일하는 방식 하에서도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과거와 다른 피드백 방식을 제안하는데, 기술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소통유형 판단, 지속적으로 새로운 소통 방식 개발, 피드백 방식에 대한 상시 점검이 필요하다.최근 접하게 되는 또 하나의 키워드는 저성장이다. COVID-19 이전에도 미-중 갈등으로 인한 무역전쟁과 기후변화 등 사회적 이슈와 함께 기업은 더 이상 성장하기에 한계를 보였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이 COVID-19로 인해 더 빨리 다가왔다. 이제 더 이상 기업들은 성장을 기반으로 직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업무 몰입을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이 되버렸다.이에 기업시민을 경영이념으로 선언한 포스코는 심리적 안정감을 중시여기는 다양한 제도들을 운영하고 있고, 사회적 가치를 중시여기는 SK는 임직원 행복을 지향하는 제도를 지향하고 있다.국내 제조기업들은 기존 다양한 평가 트랜드와 함께 코로나19와 저성장이라는 변화를 고려하여 최선을 평가제도를 발굴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인살롱 in 인살롱 ・ 2020.10.05 글로벌 평가/보상 트렌드 파헤치기!
.caption id="attachment.2199" align="aligncenter" width="401". 출처: Google Images./caption.HR에서의 평가/보상은 인재 관리와 확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은 모두 동의할 것이다.하지만 사람, 기술, 조직, 일에 대한 관점이 빠르게 변하는 시대인만큼 성과에 대한 평가와 보상을 조직에 알맞게 적용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아마 모든 HRer 들이 해봤을 만한 고민일 것이다. 이 글을 통해 글로벌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맞이하고 더 나아가 어떤 철학과 가치를 두고 구성원을 평가/보상하는지에 대해, 최현수 CJ제일제당 인사기획팀장님의 세션을 리뷰하며 정리해보려 한다.먼저, 평가/보상의 기반인 성과관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성과관리란 “궁극적으로 구성원들이 일을 통해 약속한 성과 또는 예상치 못한 큰 성과를 만들어 내도록, 그 과정과 결과를 챙겨 나가는 모든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그렇다면 현재 조직과 일의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과거에는 군대라는 환경에서 탄생한 위계/계층적 조직에서, 현재는 복잡성(multidimensional)을 가진 직무를 기반한 조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이라는 개념도 마찬가지로, 1차원적인 직무중심적 업무가 아닌 일의 경계선이 흐려지고 개개인의 역할이 정형화될 수 없는 업무가 많아지고 있다. 누군가 이 때 발생하는 grey area의 기회를 잡아 개인의 성과로 만들 수 있는지가 조직에서의 성장을 가능케한다. 이러한 변화를 민첩하게 대처한 글로벌 기업들이 있다. 2016년을 시작으로 강제배분 방식을 버리고 강점과 역량이 기반이 된 성과평가 방식을 도입한 GE (General Electric)는 Touchpoint라는 개념을, IBM은 Checkpoint라는 개념을 적용해 미래의 성장가능성과 역량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출처: Wanted
최현수 인사기획팀장님이 진행한 조사분석에 따른 글로벌 기업의 평가/보상의 트렌드는 아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Digital & Analytics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People Analytics이 매우 공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다시 말해, 리더는 물론 구성원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수준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갖춘 성과평가 방식이 당연시되고있다는 것이다. 기술과 데이터는 성과평가 뿐만 아니라, total reward, retention, engagement 등 HR의 모든 분야에 사용되고있다.
Top Talent VS. Agility
구성원 모두에 대한 정형화된 평가방식이 아닌, 최고 성과를 내는 사람에 대한 최고의 교육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제공해, Top Talent를 유지하려는 방법을 고민하는 회사들이 많아졌다. 나아가, 채찍이 아닌 당근에 중점을 맞춘 Growth Mindset을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인재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방식이 개개인의 강점을 바탕으로 맞춤화 되었다.
Employee Experience
현재 HR 분야에서 떠오르는 개념이다. 구성원들의 경험 자체에 중점을 두기 시작한 것이다. 구성원들이 조금 더 편하고 쉽게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Workday와 Success Factor 등과 같은 HR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플랫폼으로 삼아 성과관리를 진행하면서 HR이 아닌 리더와 구성원만이 교류하게 된다.지금까지 성과관리에 대한 트렌드를 살펴보았다면, 성과에서 궁극적으로 이어지는 보상에 대한 전략과 제도를 알아보자.
Transparency : 성과에 대한 가시성, 합리성, 즉시성이 추구되어야 한다.
Diversity: 보상 프로그램이 다양화되고, 보상의 책정의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Alignment: Vision, Value, Business와 연계되는, 단기에서 장기로 이어지는 성과에 따른 보상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현재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보상 프로그램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Sales 직군에서는 기본급은 낮지만 목표 달성 비율에 따라 Variable Incentive로 보상받을 수 있는 On target Earning (OTE) Incentive와, Target Incentive Rate를 조정해 Base Rate과 Target Incentive 의 비율을 배분해 보상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실리콘 밸리의 IT 및 성장산업의 기업들이 도입한 직원 대상 주식 프로그램도 있다. RSU, New Hire Grant, Performance Grant 와 같이 급여가 아닌 주식의 형태로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엔지니어나 연구 개발 분야와 같이 인재 영입이 어려운 직군에서는 보상 전략이 더욱 유동적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최고 인재에 대한 보상은 형평성이라는 기준이 아니라, 그들이 조직에 남을 수 있게 채용경쟁력의 확보 측면에서 바라 보아야한다.평가와 보상은 조직에 속한 누구에게나 지극히 개인적이고, 예민한 부분이라고 생각이 든다. 내가 일한 것에 대해 남이 평가를 하고, 그에 대한 기대치를 맞추고, 평가 결과에 따라 나에게 돌아오는 보상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평가 시즌 때 모두를 긴장하게 한다. 구성원들의 감정과 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평가/보상인 만큼 더욱 공정하고, 투명하고, 철저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다. 나아가, 회사에서 추구하는 평가/보상에 대한 철학과 가치를 구성원 모두와 공유하고 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회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쌓고, 몰입도를 높이며, 단지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닌 삶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어낼 것이다 HR AMBASSADOR 1기 문예진
인살롱 in 인살롱 ・ 2020.10.06 HR Master Class : OKR, 이제는 실행할 때입니다.
단순한 개념 이해를 넘어 ‘진짜 실행’을 위해 OKR에 담을 목표를 어떻게 수립하는지, 도전적인 OKR 수립/표현법이 무엇인지, 그리고 OKR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소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실제로 활용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알려드립니다.https://static.wanted.co.kr/images/events/912/cdaf29ce.jpghttps://static.wanted.co.kr/images/events/912/e941412a.jpghttps://static.wanted.co.kr/images/events/912/1d8cae81.jpghttps://static.wanted.co.kr/images/events/912/9aaffbff.jpghttps://static.wanted.co.kr/images/events/912/09aad27d.jpg
인살롱 in 인살롱 ・ 2020.10.06 HR의 새로운 패러다임 : 어디까지가 조직관리일까-조직관리의 범위와 핵심
대부분 조직관리라고 하면 조직관리는 "조직도를 그리는 거다.", "아니다. 조직관리는 사람을 관리하는 거다. " 이렇게 좀 단편적이게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조직관리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해봤는데 '도대체 조직관리는 뭐냐?'는 생각을 계속 하면서 실제로 실행을 해본 결과, 항상 아래의 2가지 큰 축에 세부적으로 6가지 요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해 주시면 되겠습니다.<그림> 조직관리의 구조 1. 조직 구조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첫번째로 기능,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 등의 어떤 조직구조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를 우선 정하고, 두번째로 조직 내 직무를 어떤 운영구조로 가져갈 것인가를 정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직무구조에 따라서 사람들 동기부여가 다 바뀔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결정구조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를 정하게 됩니다.2. 또 다른 한 축은 인력관리입니다. 이 것이 더욱 더 중요한 거 같습니다. 1) 어떤 사람을 버스에 태울 것인가? 2) 그리고 어떻게 몰입시켜서 성취감을 느끼게 할 것인가? 3) 어떻게 인력을 성장시켜서 자아발견, 자아발전, 또는 자아실현을 도모할 것인가? 이런 것들이 인력관리라고 봤을 때, 이 두 가지 영역이 다 합쳐지고 섞인 것이 바로 조직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독자분들도 옛날에 그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이라는 것을 많이 보고, 했을 텐데요. 프로세스 혁신(PI, Process Innovation)이라고도 부릅니다. 세부적인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정의하는 것인데 제가 오랫동안 경험을 해 본 결과, BPR/PI가 실제적으로 잘 안되냐면, 조직구조가 바뀌면 프로세스가 다 틀어집니다. 또 사람 바뀌면 프로세스가 다 틀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도의 순위는첫째, 가장 중요한 것이 사람이고, 어떤사람을 태웠느냐에 따라서 조직구조도 바뀝니다.둘째, 그 다음 중요도는 일을 잘 할 수 있는 조직구조입니다.셋째, 조직 구조가 설계되면 그 다음엔 실제로 어떻게 일을 나눌 것인가? 어느 사람, 한 사람한테 얼마만큼의 책임과 과업을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직무구조가 중요합니다.마지막으로, 이상 세가지 요소가 다 정해지고 오래 오래 굳은 뒤에야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가 있습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BRP/PI라고 하는 것은 변화가 많고, 빨리 움직여야 되는 지식근로자 집단에는 잘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프로세스 혁신에 많은 기대를 거는 생각을 좀 바꾸시면 좋겠다는 의견들 드리고 싶습니다.대부분 조직관리라고 하면 어떻게 시스템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직을 잘 관리할 것이냐라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계십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고민과 연구를 해 본 결과, 조직관리의 핵심은 감수성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Stephen P. Robbins이 지은 조직행동론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감정은 사람의 자연스러운 일부이다 . 경영자는 조직구성원의 감정적인 요소를 무시하고 그들을 합리적인 존재로만 생각하는 실수를 자주 범한다 . 사람으로부터 감정을 분리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지장에서 감정을 분리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 그러므로 리더쉽을 발휘해야 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과 영업사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그들의 성과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이런 관점에서 조직관리의 핵심은 감수성을 관리하는 것인데, 윤석철교수님께서는 ‘ 교육심리학에서 개발한 지능계수 , 즉 IQ 의 개념이 지적 차원의 능력에 해당한다면 다른 사람의 필요 , 아픔 , 정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수성은 정적 차원의 능력 ’이라고 하십니다. ‘ 타인의 필요 , 아픔 , 기호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면 우선 리더는 오만에서 벗어나야 될 것이다 .’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대부분 리더들은 '내가 똑똑하고, 합리적이면 조직관리가 잘 될 거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냐 하면 아무리 합리적이어도 그 사람의 태도가 싫으면 반응을 안 합니다. 평양감사도 내가 하기 싫으면 끝이거든요. 그래서 이 조직관리의 핵심은 위에서 이야기한 인력관리이기 때문에 핵심은 감수성을 관리하시는 거라는 것을 꼭 인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생각의 프레임부터 바꾸시면 됩니다. 그냥 내가 ‘난 너무 합리적이야.…너무 똑똑해. 일을 체계적으로 시키고 있어. 우리 조직도, 업무도 체계적으로 분장을 잘 했어. 기계적으로 잘 돌아가. 어 그만둔다네. 채우면 되지.’ 이렇게 생각했을 때에 조직원들은 퇴직면담할 때,"뭐 회사가 참 합리적이네요. 좋긴 좋은데요, 저는 제 꿈을 따라 찾아서 떠날 겁니다."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럼 저도 별로 할 말이 없었습니다. 실제 인사를 해 보니 조직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감수성을 챙기는 것이었습니다.이와 맞물려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를 관리하는 겁니다. 논어에 보면 공자님하고 자공이라는 제자가 하신 이야기가 나옵니다.공자님께 나라를 다스리는데 중요한 것을 물어보니 공자님이 "1) 먹는 거하고, 2) 국방하고, 3) 신뢰를 만들어야 된다." 고 하셨습니다. 그랬더니 자공이라는 제자가 "나라가 안 좋으면 뭐부터 버리시겠어요?"라고 묻자 공자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맨 먼저 군사부터 빼고, 두 번째 민생, 먹는 걸 뺀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남기겠다는 게 신뢰였습니다. 믿음없이는 국가는 물론 누구든지 서있을 수 조차 없다는 겁니다.제가 어린시절 이상의 문답을 읽으면서 저는 공자는 이상주의자라고생각했습니다. 어떻게 군사,경제를 먼저 버리고 신뢰를 잡는다고 할까? 하지만 미국에서 로버트레버링 박사가 연구한 '휼륭한일터(Great Work Place)'에서는 공자의 사상이 올바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로버트 레버링 박사가 처음 연구할 때는 회사의 급여수준, 복리후생 수준이 높을수록 성공하고 좋은 회사 일거라는 가설로 접근을 했었는데 조사결과 회사별 일관성이 없어서 실패했다고 합니다. 다시 조사를 해 본 결과 성공하는 회사는 아래의 세가지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경영진과직원간의신뢰 (Trust) 동료들간의일하는재미 (Fun) 일과회사에대한자부심 (Pride) 이러한 세가지 기준이 GWP(Great Work Place)의 측정 지표로 요즘 전세계적으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 측정지표를 통해 일하기 좋은 일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이지요. 이 지수를 "신뢰지수"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이 결과를 보면서 공자님 말씀이 그냥 이상주의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대다수 조직, 리더 들의 문제중 가장 큰 문제는 조직원들한테 신뢰를 못 얻는 겁니다.'우리는 다른 배를 타고 있어요. 저 분은 앞에 나가시는데, 저 분을 내가 믿고 따라가서 제가 무슨, 뭘 얻겠어요. 저는 그런 신뢰가 안 듭니다.' 이런 생각이 드는 순간부터는 조직은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조직몰입이 안 되는 겁니다. 몰입이 안되면 조직력이 바로 와해되어 버리게 됩니다.이러한 것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이 삼국지에 나오는 원소와 조조의 전투입니다. 원소는 10만 대군이고 조조는 1만 대군인데 조조가 완전히 포위를 당해 거의 죽기 직전에 쳐했습니다. 식량도 다 고갈되어 조조가 구원병을 보냈는데 그 구원병 조차 원소의 부하에게 붙잡힌 것입니다.그런데 원소의 부하 중에 그 전령을 잡은 사람이 조조 옛날 친구였습니다. 조조를 잘 아는 그는 포로를 데리고 원소에게 가 "조조가 지금 죽어가고 있습니다. 오늘 밤 쳐들어가면 끝낼 수 있습니다."라고 했는데, 원소의 부하 중에 간교한 사람들이 많았죠.‘저 사람은 조조의 친구였어요. 저 사람 믿지 마세요. 조조는 꾀가 많기 때문에 절대 믿으면 안됩니다." 그래서 원소가 올바른 이야기를 한 부하에게 "꺼져라 이놈아." 해버린 겁니다. 화가난 그 부하는 그 날밤 바로 조조에게 갔습니다. 조조가 하는 말"야.니 말대로 했으면 나 죽었다."그런데 그 원소의 부하가 "원소의 식량창고가 되게 허술하니 거길 치자."라고 한 거죠. 그 날밤 가서 창고에 불을 질러 버렸습니다. 그랬더니 원소가 난리가 난 거에요. 싸우기 위해 부하를 파견했습니다. 그런데 그 마저 조조군이 숨었다가 매복해서 후려 친 것입니다. 그러니까 원소가 파견한 부하들도 크게 졌습니다.패배한 원소의 부하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는데, 원소의 간교한 부하가 얘길 하는 거죠. "저 놈들 돌아오면 목을 쳐 버리십시오. 일을 못했습니다." 이 소문을 들은 돌아오던 두 명의 장수와 병사가 다시 조조에게 붙었습니다. 이런식으로 하다 보니까 1만 대군이 10만 대군을 이기게 되었습니다. 참 신뢰라는 것이 중요한 것을 일깨우는 사례입니다.이상 조직관리에 대하여 여러가지 관점에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 글을 통해 조직관리는 사람관리와 조직구조관리가 합쳐진 것인데 사람관리가 제일 중요하고, 특히 신뢰관리, 감정관리가 사람관리의 핵심이다라는 것을 약간이나마 생각하실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인살롱 in 인살롱 ・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