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직, 혹시 연결되고 있나요?
“ 속이 다 후련해 .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카톡 알람 때문에 노이로제 걸릴 지경이었는데 이제 진짜 해방이다 !”
얼마 전, 오랜만에 만난 지인에게 퇴사 소감을 물으니 돌아온 답변입니다. 평소 퇴근 후에도 주말에도 ‘업무 보고 차’, ‘생각난 김에’라는 이유로 쉬지 않고 울리는 휴대폰을 보는 것이 지인에게는 무척이나 큰 스트레스였다고 합니다.이처럼 여전히 많은 직장인들은 업무 시간 이후에도 직장과 연결되고 있습니다. 취업 포털 인크루트가 지난해 직장인 10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무려 응답자의 83.5%가 ‘퇴근 후 업무 관련 연락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그들 중 절반 이상인 64.1%는 어쩔 수 없이 답장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와 관련해 ‘근무시간 외 업무 점검이나 지시는 무급으로 행해지는데, 이런 일이 당연시되고 이에 대한 어떠한 제도적 규제 장치도 없는 것 또한 문제’라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죠.**그런데, 이렇게 업무 종료 이후 조직과 구성원들이 연결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하버드 대학 레슬리 펄로(Leslie A. Perlow) 교수는 ‘미국 전문직 종사자의 26%가 잠들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가지 실험을 설계합니다. 그녀는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1,400여 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한 뒤, 일주일에 단 하루 그들이 퇴근 이후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생기는 변화를 3년에 걸쳐 관찰했죠.
그 기간 동안 그들에게는 과연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실험 결과 대상자들은 더 오랜 기간 회사와 함께하며 근무하기를 희망했으며, 업무 만족도 또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그들이 스마트폰에서 벗어난 대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미래를 설계하는 등의 여유 시간을 보낼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기존 대비 일주일에 딱 하루, 저녁 시간에만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일과 생활의 균형을 제공하고 업무 생산성까지 높여준 것이죠.연구를 진행한 펄로 교수는 ‘근무 시간 이후 스마트폰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자신의 업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게 되고, 이런 행동이 밤 늦게까지 이어질 경우 업무에서 받는 압박감 또한 커진다’고 말하는데요. 이는 곧 구성원들이 스마트폰에서 분리될 때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처럼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의 ‘연결되지 않을 권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국가 차원에서 이를 법제화 시킨 경우도 있습니다.프랑스에서는 2017년부터 직원 수가 50명이 넘는 회사의 노동자는 퇴근 후 이메일 · SNS 메신저 등을 통한 상사의 연락에 응답하지 않아도 된다는 ‘로그오프’법이 시행 중입니다. 포르투갈 또한 2021년 ‘고용주는 직원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이를 어길 경우 회사에 벌금을 물리는 조항이 담긴 근로시간 외 연락 금지 법안이 신설되었죠. 이 밖에 벨기에, 호주, 이탈리아 등의 국가들 또한 위와 같은 제도를 통해 근로자들의 쉼을 보장해 주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16년 근로시간 외에 메신저나 SNS 등으로 업무 지시를 내리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발의를 시작으로 2023년 3월, 현 정부에서도 ‘연결되지 않을 권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근로시간 유연화가 안착되려면 근로자의 ‘쉴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이렇게 온전한 쉼이 중요시 되고 국가 차원의 움직임이 생긴다는 것은 분명 반가운 소식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하나의 법안이 신설되고 제도화되기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이 많고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직에서부터 먼저 변화가 일어나고 인식이 개선되어야 하는데요.이런 변화들은 연락을 취하기 전 ‘지금 꼭 해야 하는 연락인지 한 번 더 생각’해보는 것, 내가 잊을까 봐 하는 연락이 상대에게는 부담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예약 기능’을 활용하는 것, 반드시 필요한 연락이라면 양해 먼저 구하는 ‘기본적인 에티켓을 지키는 것’ 등의 긍정적인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일과 쉼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에 조직 내 온전한 휴식의 힘과 가치가 널리 전파되고, ‘연결되지 않을 권리’가 지켜질 때 높은 충성도와 열정으로 똘똘 뭉친 구성원들도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박한별 in 인살롱 ・ 2023.09.11 채용에서 Chat GPT 활용하기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HR 분야에서 Chat GPT와 AI를 실제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실질적으로 HR 분야에서 Chat GPT와 AI 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다루기 위해 프로그램 활용과 관련한 기초적 내용은 일부 생략하고 진행하려고 합니다. 만약 활용이 익숙하시지 않다면 링크로 제공드린 HRKIM 브런치 내 Chat GPT와 AI 프로그램 사용법을 함께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콘텐츠는 HR 단계 중에서도 채용 단계에서 Chat GPT와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 'HR&AI Future Company'라는 가상의 기업을 설정하고 채용 단계에서 Chat GPT, AI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 기업은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사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HR Sass 업체입니다.
1. 채용브랜드 작성 (Chat GPT, copy.ai, 비디오스튜, Notion AI 활용 )
채용 브랜드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의 미션, 비전, 목표가 필요합니다. Chat GPT에게 가상의 기업 'HR&AI Future Company'의 미션을 제시한 뒤에 이 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요청하였습니다. 미션, 비전, 목표를 도출합니다. 하지만, 실제 기업 환경에서는 이러한 미션, 비전, 목표 등을 Chat GPT와의 대화만을 통해 도출하는 것보다는 이를 토대로 전문가 지원, 직원과의 소통 및 참여 등을 병행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좌) Chat GPT가 제시한 조직 비전, 목표 (우) Notion에 Chat GPT를 통해 도출한 미션, 비전, 가치 명시
1) 채용 홈페이지 만들기
채용브랜드 작성을 하기 위해서는 Chat GPT, copy ai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HR&AI Future Company에 맞는 채용브랜드 작성을 위해 회사의 미션, 비전 등을 토대로 'HR&AI Future Company 인재상'을 도출하고 이 인재상을 토대로 채용브랜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아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Chat GPT, copy.ai를 활용하여 각각 채용브랜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Notion AI 홈페이지: https://www.copy.ai/?via=start
(상좌) Chat GPT 인재상 도출, (우상) Chat GPT 채용브랜드 도출, (하) copy.ai 채용브랜드 도출
Chat GPT와 copy.ai를 통해 얻은 채용브랜드 문구를 활용하여 Notion AI에 채용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로고는 미드저니를 활용하여 HR&AI Future의 앞 글자를 딴 HAF로 로고를 만들었습니다(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브런치스토리 HRKIM의 AI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생성하기 콘텐츠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외 내용은 도출된 인재상, 채용브랜드 등을 활용하여 해당 내용을 Notion 채용 홈페이지 스타일에 맞게 작성해 달라고 Chat GPT에게 요청하였으며, Chat GPT가 작성해 준 내용을 복사하여 Notion AI로 만든 채용페이지에 붙여넣기 하였습니다.
Notion AI 홈페이지: https://www.notion.so/ko-kr/product/ai
미드저니 홈페이지: https://www.midjourney.com
(그림) Notioan AI로 만든 HR&AI Future Company 채용 페이지
2) 채용브랜드를 올리는 동영상 만들기
그럼 위 만든 채용 페이지를 비디오스튜를 활용하여 홍보 동영상으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Notion 홈페이지 콘텐츠를 복사해서 비디오스튜 프로그램에 자막으로 붙여 넣었습니다. 또한 .위자드. 모드로 영상을 자동 생성하긴 했지만 왼쪽 검색창에서 자막에 맞는 영상을 검색하여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위 Notion 내용을 통해 생성한 채용브랜드를 높이기 위한 'HR&AI Future Company' 홍보 동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FM7IfRaH7g
(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영상을 만드는 구체적인 내용은 브런치스토리 HRKIM의 AI 프로그램으로 영상 만들기 콘텐츠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Videostew 홈페이지: https://videostew.com/
2. 직무기술서 (Job Description) 작성하기 (Chat GPT, Notion AI 활용)
직무기술서 작성을 위해선 직무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Chat GPT를 통해서도 대략적인 직무분석 내용은 도출할 수 있지만, 이는 기업 조사 Data에 근거한 직무분석 결과가 아니라 대략적으로 제시해 주는 분석결과입니다. 따라서 기업에 맞는 직무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조사 및 분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확한 직무분석 후 직무기술서를 만들면 해당 조직에 더 적합한 직무기술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Chat GPT에 일반적인 사무 업무 특성을 제공하고 직무기술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할 것입니다. 하지만 강조하고 싶은 점은, 각 조직의 상황에 맞게 정확한 직무기술서를 작성하려면 먼저 정확한 직무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상) Chat GPT에게 JD를 요청한 프롬프트, (하좌) JD 워드파일, (하우) Notaion에 입력한 JD 내용
3. 채용공고 작성하기 (Chat GPT, Notion AI, Linkedin 활용)
1) Notion 채용 홈페이지 공고문
작성된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를 기반으로 하여 채용공고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또한 Chat GPT Advanced Data Analysis를 통해 공고문 작성을 요청하였으며 작성 후 채용공고문 내용을 워드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사진) Chat GPT에게 요청하여 만든 공고문
위 공고문을 Chat GPT에게 다시 Notion AI 채용공고 홈페이지로 올리기 위한 스타일로 채용공고문을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요청한 결과 Chat GPT는 아이콘 등을 사용하여 훨씬 시각적으로 공고문을 수정해 주었습니다. 아래 그림은 해당 내용을 복사하여 Notion AI에 붙여넣기 한 결과입니다.
(사진) Notion AI 채용홈페이지에 작성한 HRBP 채용 공고
이 채용 공고는 HR&AI Future 채용 홈페이지와 연계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인재상 등을 확인한 후, "HRBP 채용공고"를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2) 링크드인 채용 공고문
위에서 작성된 채용 공고문을 링크드 형식에 맞춰 작성해 달라고 Chat GPT에 요청하였습니다. 요청한 결과 Chat GPT는 링크드인 채용 공고문 형식에 맞게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해당 공고문을 복사하여 링크드인에 붙여 넣기 하면 바로 링크드인 채용 공고문을 손쉽게 완성할 수 있습니다.
4. 서류전형 작업 (Chat GPT, Google Spread Sheet + GPT API Key 활용)
1) 서류전형 채점 기준 및 문항 생성
채용을 진행할 때, 서류전형의 채점 기준과 문항 생성은 직무 기반 채용이라면 직무분석 데이터와, 역량 기반 채용이라면 역량모델링 데이터와 연동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가상의 기업 설정을 기반으로 채용 공고와 전형을 구성하므로, 이미 직무분석 및 역량모델링이 완료된 것으로 가정하겠습니다. Chat GPT에게 서류전형 평가표를 기업 비전, 미션, 목표, 직무기술서를 참고하여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으며, Chat GPT Advanced Data Analysis를 통해서는 평가표를 엑셀파일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상) Chat GPT를 통한 서류평가표 도출, (좌하) 평가표 엑셀파일 요청, (우하) 평가표 엑셀파일 내용
HRBP에 대한 직무기술서(JD), 채용 공고문(JA), 그리고 서류전형 평가표를 HRBP.ZIP 파일로 압축했습니다. 이 압축 파일을 Chat GPT Advanced Data Analysis에 업로드하고,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류전형에 사용될 5개의 질문을 생성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 결과, Chat GPT로부터 5개의 질문을 제공받았습니다.
2) 지원자의 지원서 답변 요약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GPT API Key를 연동하여 지원서 내용을 50자로 요약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전체 행의 명령어는 2행에 작성한 명령어를 다음 행에 드래그하여 일괄 입력합니다. 지원서의 답변은 일반적으로 채용 시스템을 통해 접수받을 경우 어렵지 않게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 형식으로 데이터를 추출 가능합니다. 이를 복사하고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붙여넣기 하여 지원서를 신속하게 지원서를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활용하면, 많은 지원자의 정보를 요약해서 빠르게 검토할 수 있고, 상세한 내용은 스프레드시트의 왼쪽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어 평가하기에 편리합니다.
(구슬스프레드시트와 GPT를 활요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브런치스토리 HRKIM의 구글스프레드시트와 GPT를 활용한 인사업무 자동화 콘텐츠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생성형 AI 활용 여부 검토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작성이 채용 과정의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면서, AI 탐지 프로그램들이 지속해서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AI 탐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AI의 작성 부분을 100%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더불어, 지원자가 Chat GPT와 같은 AI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과 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한 경우, 이는 단순한 부정 행위로 볼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채용담당자는 HR 부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기업의 적절한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AI 도구의 활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Chat GPT를 이용한 허위 정보 제공 지원자를 선별하는 면접 및 후속 전형의 검증 과정 강화가 더욱 중요해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5. 면접전형 작업(Chat GPT 활용)
1) 면접전형 채점 기준 및 문항 생성
Chat GPT Adavanced Data Analysis에게 기존 기업의 미션, 비전, 목표, 직무기술서 등을 참고해서 면접전형 평가표를 만들고, 평가표를 엑셀파일로 제시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그 결과 Chat GPT는 면접전형 평가표를 80점 만점으로 제시해 주고 그 표를 엑셀로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평가표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2) 구조화된 면접 질문 생성
기업의 미션-비전 내용, 채용 공고, Job Description, 면접전형 평가표를 한 파일로 압축하고 Chat GPT Adavanced Data Analysis에게 제공하였습니다. Chat GPT Adavanced Data Analysis에게 프롬프트를 통해 압축된 파일을 모두 고려하여 구조화된 면접 질문과 후속질문을 엑셀파일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Chat GPT Advanced Data Analysis에 요청하여 평가표의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구조화된 면접 질문표를 엑셀 파일로 제공받았습니다. 해당 파일에서는 평가항목별 면접 질문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아래 화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 '기업 비전 및 목표 이해도', '목표 달성'과 같은 기본 평가항목 외에 '비전 및 미션 일치성', '목표 달성 사례', '직무 관련 지식 및 경험' 등의 하위 항목을 기준으로 한 구조화된 면접 질문표를 받길 원하신다면, Chat GPT Advanced Data Analysis에 해당 내용을 기준으로 면접 질문표를 요청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내용에 맞춰 구체적인 질문을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나가며
지금까지 가상의 기업 'HR&AI Future Company' 사례를 통해 AI 기술을 활용하여 채용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채용 홈페이지의 구축, 공고문 및 JD 작성, 서류와 면접 전형의 평가 기준과 질문 항목 생성 등에 Chat GPT와 AI 기술을 활용하는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이런 자료 기반으로 Chat GPT 또는 AI 기술을 활용하면 전형 심사위원을 위한 교육 자료 등 채용과 관련한 추가적 자료도 기존 대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HR의 여러 단계 중 채용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향후 채용뿐만 아니라 인사 관리(입직, 배치, 퇴직 등), 성과관리, 교육훈련 등 HR의 다양한 영역에서 Chat GPT 또는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
VideoStew 홈페이지, https://videostew.com/
Notioan AI 홈페이지, https://www.notion.so/ko-kr/product/ai
미드저니 홈페이지, https://www.midjourney.com
Copy. ai 홈페이지, https://www.copy.ai/
인살롱 in 인살롱 ・ 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