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지 시리즈 2/ 당신은 속았습니다. 생활 속의 다크패턴(다크넛지)
넛지의 개념을 이야기해봤으니 다크넛지에 대해 이야기 해볼게요. "다크" 뭔가 악당의 느낌이 나지 않나요? 나쁜게 맞습니다
"구독하고 이용은 안 하지만 구독을 끊지 않은 경우 있나요?"
"무료 이벤트 이후 3개월 뒤 구독 이용료가 정상가로 자동결제가 되어서 당황한 적 있나요?"
다크 넛지에 걸리신겁니다. 귀찮은 사람들을 위해 기획자들은 탈퇴나 해지를 어렵게 만들거든요
넛지가 행동을 유도하는 것인데 나쁜 넛지 = 다크 넛지에 걸리신거죠.
그러면 "우리는 일방적으로 다크넛지에 당하기만 하나요?"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어요. 그래서 정부가 나섭니다.
약관을 동의할 때 체크리스트가 이미 설정되어 있다면 체크된 약관을 동의할 확률이 높아요. 하지만 개인정보법 위반입니다. 다크넛지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체크하는 것을 제한했어요. 그러나 기획자들은 또 이를 회피하기 위해 "전체 동의" 버튼을 만들었어요.
예시로 들었던 "무료 이용 후 자동결제" 또한 현재 공정위가 지켜보고 있는 사안 입니다 . 최근 유튜브 , 넷플릭스 등 OTT 사업자들이 위의 문제에 대해 전자상거래법 근거로 벌금을 물기도 했습니다.
그럼 다크넛지를 방지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
https://brunch.co.kr/@1dayliterature/504 이 분 글을 참고해보세요.
다크넛지에 대한 글이네요. 이런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정말 골치 아프죠. 하지만 이런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해주신 방법들을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더불어,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항상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