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가 틱톡에 열광하는 이유는? 중국을 넘어 전 세계를 대표하는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이 1인당 사용시간 통계에서 유튜브(Youtube)를 눌렀다고 한다. 2022년 1분기 기준으로 틱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은 23.6시간으로 유튜브는 동기간 23.2시간이었다. '0.4시간'의 차이. 작지만 아무도 넘어서지 못할 것이라 예상했던 유튜브가 아니었던가. 메타(Meta)의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가 가장 거대한 경쟁사로 손꼽은 플랫폼도 다름 아닌 틱톡이었다. 메타의 페이스북 사용시간은 19.4시간으로 틱톡보다 4.2시간 뒤쳐진다. 틱톡은 숏폼 플랫폼을 대표한다. 여기서 말하는 숏폼(Short-Form)은 고작 15초에서 수분 내로 제작되는 극히 짧은 영상들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익숙한 Z세대 유저가 대다수다. 유행에 민감한 세대들이 틱톡 플랫폼을 통해 스스로 트렌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틱톡의 엄청난 경쟁력을 실감했는지 유튜브나 인스타그램도 유튜브 쇼츠(Youtube Shorts), 인스타 릴스(Instagram Reels) 등 유사 서비스를 각각 내놓기도 했다. 틱톡의 엄청난 성장세 틱톡은 2017년 중국 바이트댄스에서 출시한 글로벌 플랫폼으로 무려 150개국에서 16억 명이나 사용하는 숏폼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유튜브 쇼츠 역시 일 평균 300억 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라고 하니 숏폼에 통한 유저들의 소비 트렌드가 얼마나 대단한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시장조사 업체 인사이더 인텔리전스(Insider Intelligence)에서는 2022년 틱톡의 광고 매출만 무려 13조 원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다. 조선일보에서도 블룸버그 통신을 인용해 예측한 틱톡의 매출액 규모를 약 16조 원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는 트위터와 스냅챗의 매출액을 합친 것보다 높은 수준이다. 매출 규모를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직접적 경쟁사가 아니긴 하지만) 국내 1위 포털 네이버의 2021년 연간 매출이 약 6.8조 원 수준이었고 위에서 언급한 글로벌 SNS 트위터의 매출액은 6.3조 원이었다. 모바일이라는 작은 디스플레이 안에 무궁무진한 짧은 영상을 담아내면서 기록한 매출 자체가 그저 어마어마한 수준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렇다면, 틱톡은 왜 그렇게 성장했을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플랫폼마다 가독성의 차이가 있어 2가지 링크 모두 올립니다. 네이버 포스트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315736&memberNo=170704 브런치 : https://brunch.co.kr/@louis1st/549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