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메타버스 TOP5 가능하겠죠?
자율주행부터 인공지능, 로봇, 헬스케어까지 뒤범벅되었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키워드가 주변 곳곳에 스며든 이후 '메타버스(Metaverse)'와 'NFT'라는 키워드가 줄곧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해가 바뀌었음에도 디지털 세상에 대한 트렌드는 쉽게 변하지 않고 있네요. 그도 그럴 것이 세계 주요 국가들은 물론이고 IT 기술력을 보유한 빅 테크 기업들 모두 메타버스와 NFT를 향한 주도권 확보에 (알게 모르게) 열을 올리고 있는 중입니다. 본래의 사업과 병행하여 추진하거나 아예 스핀오프 하여 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들도 있죠.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디지털 세상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요? 그래도 한때 인터넷 강국이면서 IT 테크놀로지에 강한 면모를 보여왔다지만 (지극히 개인적 생각이지만) 이 분야에서는 거리감이 있는 듯 느껴지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정부도 메타버스 주도권을 확보하여 4년 뒤인 2026년 시장 점유율 5위권을 목표로 힘을 쏟아붓는다고 하네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져온 시대의 변화는 실로 어마어마했습니다. 2019년 말부터 지금 이 시간까지 코로나와 함께 살아온 인류는 '화이자'든 '모더나'든 백신 접종을 하고서도 제한적 라이프 사이클을 겨우 유지하고 있습니다. 때론 눈물겹기도 합니다. 코로나 창궐 이후 가장 많이 변화한 것 역시 테크놀로지가 아닐까요. 사람과 접촉을 멀리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100% 완벽하지 않지만 완성형 비대면 시대를 이룩했고 5G 네트워크는 보다 고도화로 나아가는 중이며 아이부터 어른들까지 용도가 무엇이든 디바이스의 다양성과 대중화를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화상회의, 재택근무, 원격수업 등이 전혀 어색하지 않게 이뤄지고 있는 중입니다. 그 와중에 시공간의 제약이 전혀 없고 현실 세계가 투영된 '메타버스'의 세계가 모두가 그곳의 문을 두드리고 있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브런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언제나 그렇듯 좋은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brunch.co.kr/@louis1st/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