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박한 23살 군인입니다.. 안녕하세요. 특성화고 졸업 후 대기업 계열사 채권팀으로 근무하다 적성에 너무 맞지 않아서 그만두었습니다. 창업하다 코로나 여파로 폐업하고 현재 군 복무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1년 2개월의 시간 동안 '서비스 기획자'라는 꿈을 구체적으로 갖게 되었고 고졸, 무스펙의 상황에서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싶습니다. 하여 필드에 계신 선배님들께 조언 구하고자 절박한 심정으로 남겨봅니다. 1. 제가 가고자 하는 직무가 '고졸'의 학력으로 채용 가능한 업종인지가 궁금합니다.. 2. 학점은행제라도 하여 4년 학위를 따야하는 지 고민됩니다. 3. 현업자의 온라인 강의 같은 것도 도움이 될 지 궁금합니다. 4. 실무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데, 어떤 것을 공부해야할 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

(미사용 회원)디자인・2022.01.03
남 일 같지 않아서 나름대로 의견을 남겨봅니다.. 개인 의견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 1. 학위가 도움이 안된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그렇지만 무조건적인 필수는 아닌 것 같습니다. 경험상 주위에 고졸 학력으로 멋지게 일하시는 분들이 꽤 있는데, 다른 곳보다 IT 업종이나 스타트업에 그 비율이 좀더 높은 것 같아요 (병특이라는 제도도 있고요) 대신 그만큼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어떻게 어필할 수 있는지, 어떤 경험을 해오셨는지가 더 중요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무역량 이외에도 거시적으로 천천히 생각해보고 싶으시다면 관련 전공도 좋은거같아요~ 2. 1번에 답을 한 것 같습니다 ^^ 3. 현업자 온라인강의는 좋을 수도 아닐수도 있을것같아요. 논리적인 사고방식, 정리능력, 개발지식 등 IT 환경에 대한 이해나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실무에서는 무척 중요한 것 같은데, 현업자 온라인강의는 그런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는 것 같다는 장점이 있을거같아요. 하지만 케바케가 좀 있는 듯 합니다. 본인에게 맞는 강의를 잘 골라보시거나 일단 유튜브 등 무료 강의로 시작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4. 서비스 기획자만큼 넓게 공부해야하는 직무도 손에 꼽을 것 같네요. (디지털)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지식이 도움이 될거같아요. 그런데 이렇게만 말해서는 너무 애매하니까... 소프트 스킬이나 마인드셋을 위해서는 여러 디지털 제품 관련 서적을 읽어 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하드스킬 관련해서는... 실제로 팀을 꾸려 제품을 하나 출시해보는 것만큼 확실한 게 없을 것 같은데요, 팀이 없으면 혼자서 단순하지만 니즈가 있는 웹사이트를 기획하고 출시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꼭 성공하지 않아도 되는 것 같고, 이 과정을 진행하면서 정보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 디자인, 개발환경, 인터넷 환경, 배포, 버전, 데이터 등등에 대한 소양을 직접 익혀보고 경험을 정리할 수 있다면 좋은 것 같아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