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로 전향하고 싶은 공대생의 고민 들어주세요! 정보통신이라 학교에서 sw를 얕게 배우고 잠깐 개발 공부하고 대외활동과 프로젝트까지 한 적 있었습니다 그러나 개발 실력이 없고 적성에 안 맞고 제가 생각한 것과 너무 달라서 휴학하고 기획으로 전향했어요 근데.. 기획의 적성은 잘 모르겠지만 분명한 건 성격에는 전혀 안 맞는 직무입니다(전 누구를 설득하고 싸워야 하는 게 너무 힘들어요)ㅜ 홈페이지를 기획하고 만들었을 때는 좀 뿌듯했는데.. 현직자가 계신 오픈채팅방에 있으면 미래의 제가 실무할 때 스트레스 많이 받아 금방 퇴사할 미래가 그려집니다 그래서 성격 상 반복 작업을 선호하는 편이고 꼼꼼한 성격이라 요즘 생각하는 직무가 QA인데 이쪽은 정보를 얻기가 하늘의 별 따기네요 제가 IT 산업에 안 맞는 인재라고 생각은 하지만, 당장 기존 스펙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추후 타 직무로 이직하더라도 지금은 전공 살리려고 합니다 QA 엔지니어가 되려면 ISTQB 자격증이 필수일까요? 그리고 실무 경험이 꼭 있어야 할까요? 아니면 기존에 했던 직무를 싫어도 참고 해라 이런 말도 괜찮고 다른 직무 추천해주셔도 됩니다 곧 복학을 앞두는 휴학생 고민 들어준다 생각하고 조언 부탁드립니다ㅜ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6

안녕하세요, 기연님. 고민이 많으실 수 밖에 없는 상황이시군요. 이 콘텐츠를 보시면 실제로 회사에서 QA분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아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저도 커리어 고민 있을 때 원티드 콘텐츠 많이 찾아보고 있어요ㅜㅜ 하 진짜 커리어.... https://www.wanted.co.kr/events/1331
답글 달기
저도 QA분야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10년 넘게 일을 하려면 본인 적성에 맞는 업무를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어렵더라도 조금씩 더 맞는 길을 찾아가시기를 응원하겠습니다.
답글 달기
(미사용 회원)개발・2021.11.05 (수정됨)
QA직무에 대한 정보는 STEN이나 네이버 카페 SW Tester들의 모임 에서 얻으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구직은 원티드) 저도 아직 주니어급 QA라 많은걸 알진 못해 댓글을 달기가 조심스럽지만.. ISTQB 자격증이 필수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같이 업무하셨던 분들 중에 자격증이 없는분도 많았거든요. 자격증 비용도 만만치 않으니 QA 업무를 경험해보시고 나서 생각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누군가를 설득하거나 싸우는게 성격에 맞지 않는다고 하셨지만 아쉽게도 QA 직무는 개발 결과물의 품질을 QA 관점에서 주장하고 설득해야 하는 일이 잦아요 ㅠㅠ QA는 단순히 기획서 대로 정상동작을 하는지 테스트 하는것 뿐 아니라 개발과정 전체에 걸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활동을 하는 직무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버그가 발생하지 않는 기능이더라도 품질을 해치는 요소가 있다고 생각되면 그 의견을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들께 설득시킬 수 있어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겠죠. 주니어급 QA의 몇년 간의 업무를 경험해온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아무쪼록 많은 분들의 조언 얻어서 행복한 커리어 쌓을 수 있길 바래요 화이팅 👏
답글 달기
(미사용 회원)2021.11.05 (수정됨)
모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여기에 털어놓으니 한시름 놓여요
답글 달기
(미사용 회원)개발・2021.11.05 (수정됨)
(자격증 취득과는 별개로) QA 직무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으신 상황이다 하시니, ISTQB 실라버스를 공부하셔서 QA 직무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넓히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www.kstqb.org/board_skin/board_list.asp?bbs_code=4 https://www.sten.or.kr/sten/index.php?menu_no=1 실무는 ISTQB보다 훨씬 더 다이나믹합니다. IT기업들의 기술블로그나 개인 블로그 검색을 통해서 보다 현실적인 주제들에 대한 이야기를 간접 경험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brunch.co.kr/@sicle-official/35 https://cafe.naver.com/swtester 기술 및 프로세스의 동향에 대한 파악도 필요합니다. 특히 테스트 자동화와 같은 기술적인 부분의 역량에 대한 요구사항이 점점 커져서 관련한 개발 공부도 꾸준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민이 많으실텐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고....화이팅입니다💪
답글 달기
힘내세요. 화이팅 응원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