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분을 한다는 것은 어떤 뜻일까. 우리는 언제나 이 고민에 시달린다. 직접 사업을 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그러면 그 1인분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가 사용자 입장에서 게임, 앱, 웹 서비스를 만들듯 우리의 고용괸계에서 그것을 찾아야 한다. 내가 부여받은 업무 내 조직에 구성 내가 받는 연봉 나아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역할까지 그 모든 것이 1인분의 기준이 된다. 이에 대한 판단은 내가 아닌 고용 관계에 있기에 각각의 선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가스라이팅. 비교와 비난. 다양한 요소가 우리를 좀먹는다. 그럴 때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 친분관계의 형성이다. 협업하는 동료, 파트너와의 관계. 의례적이 아닌 진정성 있는 관계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주기적으로 소통하며 지나가는 말로라도 피드백을 받아야한다. 내 역할. 내 기대치. 내 기획이나 논의 방식. 그 모든 것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거기서 조금씩 내 실무와 협업에서의 1인분이 보인다. 그 다음엔 시야를 높여야 한다. 팀장이나 사수, 본부장이나 c level 의 지시와 전달 사항. 그것을 역으로 분석해보는데서 우리의 시야는 그들의 높이로 점점 맞춰진다. 우리가 그들의 어깨에 올라 바라보게 된다. 그 때 내게 기대하는 1인분이 보인다. 그리고 타 회사나 도메인, 직무에서 업무를 슈행하난 이들을 만나야 한다. 그래야 회사가 만든 허상을 걷을 수 있다. #1인분 #일잘러 #일 #태도 #기획 #주니어 #서비스기획 #게임기획 #pm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