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을 읽는 내내 든 생각은, 너무 다 옳은 말&좋은 말(밑줄 친 문장만 100개가 넘는...) 이라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을 챕터 당 하나씩만 잘 소화해보자고 생각했어요. HR인 저는 리더십 관점에서 이 책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봤지만, 내 삶에도 적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투명성과 진실성의 중요성: 리더는 조직 내에서 솔직한 대화를 장려하고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합니다.
2. 피드백과 개선: 지속적인 피드백 루프를 통해 자신과 팀의 성장을 도모해야 합니다. 리더는 피드백을 수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합니다. 이 때 반드시 리더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3.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주관적인 판단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활용해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더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도출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4. 팀워크와 개개인의 강점 활용: 각 팀원의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최대한 활용해 팀의 성과를 극대화 해야 합니다. 리더는 팀원들이 자신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5. 실패를 통한 학습: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이를 학습의 기회로 삼습니다.
✏️ 밑줄 친 주요 문장
1. 셰이퍼들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른 사람이나 사물이 자신들의 대담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독립적인 사고의 소유자들이다. 이들은 일을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고한 설계도를 머릿속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현실 세계에서 이것을 시험하고 더 잘 실현될 수 있도록 일하는 방식을 바꾸려는 의지력을 가지고 있다. 셰이퍼들은 자신들의 꿈을 실현하려는 욕구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고통보다 훨씬 더 강하기 때문에 실패에서 회복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2. b. 현실은 당신이 아니라 전체를 위해 최적화 되어 있다.
전체를 위해 공헌하면 보상을 받게 된다. (중략) 결과는 전체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의 순환 과정이다.
3. 동반자는 기꺼이 서로에게 높은 기준을 요구하고, 의견 충돌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훌륭한 동반자 관계에 대한 중요한 시금석은 동반자들 사이에 의견 충돌이 발생하는지, 발생하지 않는지가 아니라(건강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서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의견의 차이를 공개하고 이를 잘 해소하는가이다.
4. 당신(리더)에게 다가오는 일에 너무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조직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을 조심하라. 개인의 업무에 관심을 집중하면 불가피하게 정체 상태에 빠질 수 있다. 그 대신 당신이 조직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계속해서 보상을 받을 것이다.
5.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한 일과 하고 있는 일이 실제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라. 모든 사람에게 조직의 성공에 개인적으로 몇 퍼센트나 공헌하고 있는지 물어보면 합계가 300% 정도가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특정한 결과가 누구의 공헌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 이유이다.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누가 무엇을 책임지고 있는지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