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LINE Yahoo, 정보 유출 방지 대책 보고서 제출...자본 관여 재검토 난항 LINE Yahoo(라인 야후)가 정보 유출 문제의 재발 방지 대책을 담은 보고서를 일본의 소통부(総務省)에 제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모회사인 SoftBank(소프트뱅크)와 대주주인 한국의 Naver(네이버) 간의 자본 관여 재검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단기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LINE 앱은 약 97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중요한 '사회 인프라'로, 지방 자치 단체의 행정 절차 및 결제에도 사용되고 있어 데이터 관리의 경제 안보상 중요성이 높습니다. 이에 소통부는 3월 LINE Yahoo에 대한 행정 지도 시 SoftBank에 자본 참여를 강화하라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습니다. LINE Yahoo에 64.4%를 출자하는 중간 지주 회사에는 SoftBank와 Naver가 각각 절반씩 출자하고 있으며, 양사 간의 협상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단기적인 자본 이동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논의가 진전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Naver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성실히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고, SoftBank의 미야가와 준이치(宮川潤一) 사장은 "합의 시기에 대해 명확히 답할 수 없으며, 계속해서 협의를 중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 측의 반발도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불이익을 받으면 강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고, Naver의 노동 조합도 "주식을 매각하면 고용 불안이 확산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의 林芳正(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필요에 따라 한국 정부에 정중하게 설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LINE Yahoo는 정보 유출을 공개한 것은 2023년 11월이며, Naver와의 시스템 공유가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었습니다. 보고서에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국내 서비스의 개발 및 운영을 Naver에 위탁하는 부분을 원칙적으로 2025년 말까지 종료하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Naver는 한국의 검색 사이트 최대 업체로, 금융 및 전자 상거래(EC)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INE Yahoo는 Naver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자본 구성뿐만 아니라 성장 전략에도 불투명함이 커지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