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공유] “애자일 서번트 리더십”을 통한 변화를 활성화하는 법 ✔ Servant(=하인/노예) Leadership 은? 1. 직원에게 목표를 공유하고 직원들의 성장을 도모하면서, 리더와 직원간의 신뢰를 형성시켜 궁극적으로 조직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리더십이다. 2. 리더가 직원를 섬기는 자세로 그들의 성장 및 발전을 돕고 조직 목표 달성에 직원 스스로 기여하도록 만든다. ✔ Servant Leader가 가져야 하는 특징은? 총 10가지 1. 적극적 경청 2. 공감 3. 힐링 4. 자기 인식/인지 5. 설득 6. 개념화: 단기적인 목표 달성이 아닌 폭넓은 개념적 사고 필요 7. 예측: 미래에 대한 결과 예측 8. 스튜워드십: 개방성과 설득/ 다른 사람 욕구 충족을 위해 헌신 9. 성장에 대한 헌신 10. 공동체 형성 ✔ 변화를 하려면 → Servant 리더십 + Unfreeze-change-Refreeze 방식 합쳐야 한다! 순서 | UnfreezingChangeRefreezing 1. Unfreeze 동결해제! - 적극적 경청 + 사람들의 needs 파악부터 - 기존 상태를 깨고 새로운 패러다임 만들도록 하기 위해선? → 예지/선견지명 필요 - 변화를 추진할 때 → 사람들의 needs를 들어준다는 믿음을 준다!! “ 너희들 needs 들어줄게~” (리더들이 사람들 needs를 들어줄 수록, 변화를 거부감없이 더 잘 받아들인다고 한다!) - 어려울 경우? - 사람들의 불만을 들어주는 시간을 만듦 - 사람들의 needs를 해결하고 필요한 변화를 주기 위해 조치를 취함 - 기대치를 주기 위해 명확한 변화 비전 및 목표 전달 2. Change 변화 시작 - 설득하기 시작한다! - 직원 모두가 의견결정에 참여하는 일원이라고 느끼게 만든당 - 변화를 개념화로 정립 → 설득을 하고 → 주도권을 주며 참여를 장려한다! - 이렇게 시작하면 됨! - 사람들의 강.약점을 파악하고 긍정적은 피드백을 주기 -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사람의 힘/장점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 단기간에 달성가능한 계획으로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기! 3. Refreezing 재냉동 - 변화를 받아들인 상태! - 일관성을 유지하고 지속해야함을 전달한다! -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 이런 새로운 변화로 인한 안 좋은 결과에 리더가 책임을 지기 -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행동을 더더욱 장려한다 ✔ 이렇게 하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당연하죠 - 사람들은 소유의식이 생기며 함께 만들어나간다는 마음가짐이 생기게된다 - Bottom up 리더십은 리더와 조직전체간 신뢰감을 형성하고 팀에 대한 자부심을 느낀다 출처: https://www.toptal.com/project-managers/agile/agile-servant-leadership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