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관리를 잘 해야 안 피곤하다
다들 주어진 시간 또는 오버타임을 하면서 열심히 일은 하지만 갈수록 하나의 응집된 방향으로 그 힘이 모아지지 않는 느낌이다.
힘은 힘대로 들고 이 배는 도대체 어디로 가는건지 모르겠고 선장은 자꾸 이리 가라 저리가라 하는데 도대체 어디로 가라고 하는건지도 이젠 헤깔리고...
어제는 저거 하자 하고 오늘은 저게 아니라 이거라고 하고..
근데 그걸 오퍼레이션 해야하는 우리들은 배가 좌우로 출렁거리며 힘들고 복잡하고 멀미에 허덕인다.
근데 가만히 주어진 상황을 놓고 뒤에서 생각해 보면 그분들이 생각하고 가이드 주고 계신 목적지는 변함없이 그대로였고, 다만 그 순간 순간의 닥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테일 방향을 좌우로 조정하면서 가이드를 주신 것일 뿐이다.
단발성으로 들어오는 지시 사항을 제대로 잘 이해하고, 우리가 멀미에서 고통받지 않으려면,
저 멀리 있는 공통의 목적지를 다시 한번 인지하고 우리 스스로의 선장이 제시한 목적지에 맞는 세부 목표 수립을 처음 부터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한 순간...이다.
□ OKR (Objective and Key Results)
- 미국 인텔에서 시작하고 구글 중심으로 실리콘밸리에 확산된 성과 관리 기법으로 목표 설정 및 소통을 활성화하며 조직을 강화하는 툴
□ 목표(Objective)
- 팀 전체의 방향성에 맞으면서 도전적이고 동기 부여가 가능한 문구로 작성 필요
□ 핵심결과(Key Results)
- 목표달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표가 포함되어야 하나, 단순히 어떤 것을 했다는 Output이 아닌 그걸 통해 어떤 것을 달성해 낸 Outcome이어야 함
※ 아빠의 방향성을 잘 이해해 주지 못하는 아들과 함께 만들어본 assa.assa.jun의 OKR 예시입니다.
assa.assa.jun OKR
□ 목표(Objective)
- 내가 하고 싶은 걸 하기 위해서, 내가 해야만 하는 것들을 해 낼 수 있는 힘을 만들자
□ 핵심결과(Key Results)
① 하루 2시간 자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는 힘을 만든다.
② 한번에 최소 연속 30분 집중력을 만들어 낸다.
③ 생각(계획)을 먼저하고, 행동(실천)을 하기 위해 일일 계획표를 작성한다.
* image ref: https://technopark.org.za/
#OKR #성과관리 #팀빌딩 #목표수립 #배움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