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하는 이야기]
‘피드백 잘하고 싶다’
저희 회사는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피드백은 늘 일상입니다.
예민하고 꼭 필요한 피드백일수록 어떻게 잘 줘야할지 고민에 빠지곤하죠. 글을 썼다 지웠다 하면서 여러번 수정하고서야 겨우 피드백을 완료해요.
그리고 피드백을 받아할 때는 무서워서 살짝 시간을 미루며 회피 하곤합니다.
그래서 찾아보게된 피드백 잘하는 법! (잘 받는 법?!)
좋은 피드백을 하기 넷플릭스의 4A 규칙이 있다해요.
1. Aim to Assist(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해라)
피드백은 선의에 비롯되며, 단순히 불만을 제기하거나 의도적으로 상처를 주거나, 자심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서 이루어지면 안 된다. 구체적으로 상대방과 회사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설명해야한다.
2. Actionable(실질적인 조치를 포함하라)
피드백은 받는 사람의 행동이 변화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의견과 함께 그가 할 수 있는 조치에 포함하는 것이 좋다.
3. Appreciate(감사하라)
피드백을 듣는 사람은 변명이나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기보다는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고 감사한 마음을 표현한다.
4. Accept or discard(받아들이거나 거부하라)
피드백을 들었다면 우선 생각해봐야 한다. 일단은 감사하되 수용 여부는 피드백을 받은 사람이 생각해보고 판단한다.
------——————
‘실질적인 조치를 포함하라’
프로젝트가 끝나고 문제의 회고가 필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다음 액션에 대한 내용일 겁니다. 질책 보단 행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죠.
그리고 여기에 하나 포함하고 싶은 것이 있더라구요!
바로 타이밍입니다. 그 상황이 생생하게 기억날 때 피드백을 주는 것입니다. 기억은 늘 휘발되기 때문에 적당한 타이밍도 함께 고려 된다면 금상첨화겠죠?
위의 규칙에서 ‘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해라’가
가장 중요한 규칙이라고 생각했어요.
도와주려는 마음이 느껴진다면 서툰 피드백이라도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들을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준다고 생각해요. 모든 일은 다정함에서 풀릴 수 있는 것들이 많거든요.
답답해서 날카롭게 관통하는 피드백을 쓰고 싶겠지만 다정한 마음을 약간은 곁들여서 써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