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을 어찌할 수 없다. 그 상황을 명확히 하라.] 거대한 태풍은 강한 바람을 동반합니다. 첫 회사에 다니던 때, 거대한 태풍이 서울을 덮쳤고 거대한 가로수가 쓰러지며 전신주를 쓰러트린 적이 있었습니다. 전력 공급이 끊긴 지하철은 멈췄고, 저희는 강제로 내려야만 했습니다. 제가 이것을 어찌할 수 없습니다. 제가 그 태풍의 경로를 바꿀 수도 없고, 태풍으로부터 나무를 지킬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전력이 끊겨 출근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새로운 출근 루트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 또는, 출근길이 엉망이라면 이 상황을 공유하고 연차의 사용이나 재택 근무, 출근 시간의 유동적 조절 등을 요청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바꿀 수 없는 상황에 포인트를 두는 것이 아니라, 내가 수행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자연재해에만 적용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 벌어지는 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여러분이 어려운 일에 스트레스 받을 때 주의하셔야 하는 상황이 이것입니다. 투자 상황의 변화, 시장의 변화, 새로운 기술의 개발 등 수많은 변화 중 우리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분야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것에 스트레스를 받는 게 아니라, 거기서 우리가 해야할 것을 찾아야 합니다.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을 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투자자가 투자를 미룬다면, 무엇 때문일 것이라 판단하며 그 다음을 준비할 것인가. 새로운 시장의 변화로 우리 제품의 방향성이 달라져야 한다면, 구현해야 할 세부 사항이 달라져야 한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렇게 우리의 행동 방향이 정해진다면, 우리는 불가피한 상황에 에너지를 쓰는 게 아니라, 이 상황에 대응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힘을 쏟을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의 상황을 더 나아질 수 있게 해줍니다. #주니어 #서비스기획 #기획 #게임기획 #PM #매니지먼트 #상황 #이슈 #관리

콘텐츠를 더 읽고 싶다면?
원티드에 가입해 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