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말씨5] 소통의 깊이를 더하다: 의도와 결과 간의 숨겨진 연결고리 탐구 지난 주, '소통 의도와 결과' 간의 관계에 대해 고민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저의 의도: 팀원의 현재 업무 방식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향후 세일즈 목표 달성 계획에 따른 성장을 지원하고자 함. 지시사항: 세일즈 목표 달성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금요일까지 마무리하라는 지시. 기대사항: 세일즈 목표 달성 계획 자료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미팅에 임함. 결과: 팀원이 세일즈 목표 달성 계획을 구두로 공유하였고,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았음. 저는 좋은 의도로 충분히 설명했다고 생각했지만, 팀원이 제 의도와는 다르게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을 보며 '소통 의도와 결과' 간의 관계를 다시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다년간 리더로서 느낀 점은, 소통 의도가 항상 의도한 대로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특히 조직 내 리더십 상황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하여, 때로는 좋은 의도가 오해를 낳거나 기대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명확하고 단순한 지시', '강렬한 감정 표현', '높은 권위 또는 절대적인 복종 관계'와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소통 의도는 여러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와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를 통해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 변수들을 살펴보며, 실제 리더십 상황에 어떻게 적용하고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았습니다. (사례 적용은 상기 내용을 적용해보았습니다) 1. 매개변수 (Mediating Variable): 매개변수는 리더의 의도가 팀원에게 전달되고 해석되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1)표현 방식 (Communication Style): 소통상황에서 필요 (1)보완점: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예시와 상황 설명을 덧붙여 팀원이 추상적인 지시를 자신의 업무 맥락에 맞게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과 확인을 통해 팀원의 이해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2)사례 적용: "A팀원! 목표 달성을 위한 현재 상황 분석과 그에 기반한 개선점 포함한 리포트를 금요일까지 준비해 주세요."와 같이 구체적인 상황과 기대하는 결과물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2)이해 및 해석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소통상황에서 필요 (1)보완점: 상호 이해를 위한 노력은 팀원의 이해 수준과 관점을 적극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2)사례 적용: 미팅 시작 전에 "오늘 미팅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함께 논의할 것입니다. 혹시 현재까지 생각하신 부분이나 어려운 점이 있으신가요?"와 같이 먼저 팀원의 생각을 묻는 것이 좋습니다. 3)상황적 요인 (Situational Factors): 소통상황에서 필요 (1)보완점: 팀원의 개인적인 상황이나 감정 상태를 고려하는 섬세함이 필요합니다. (2)사례 적용: "최근 업무량이 많아 힘들죠? 도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와 같이 공감과 지지를 표현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소통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4)정보의 명확성 및 완전성 (Clarity and Completeness of Information): 소통상황에서 필요 (1)보완점: 팀원이 정보의 중요성과 연결성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2)사례 적용: "이번 계획은 우리가 [전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로드맵입니다."라고 설명하여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5)관계의 질 (Relationship Quality): 평소에 필요 (1)보완점: 신뢰 구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노력해야 합니다. (2)사례 적용: 팀원의 작은 성공에도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어려운 상황에서는 함께 고민하는 모습을 통해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조절변수 (Moderating Variable): 조절변수는 리더의 좋은 의도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도록 그 영향력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개인의 성격 및 인지적 특성 (Personality and Cognitive Traits): 평소 파악 필요 강화 방안: 팀원 개개인의 성격과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 소통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감정 상태 (Emotional State): 평소 파악 필요 관리 방안: 팀원들의 감정 상태를 살피고, 공감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3)권력 관계 (Power Dynamics): 평소 노력 필요 개선 방향: 수평적이고 상호 존중적인 권력 관계를 지향하여, 팀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팀원과의 소통 경험을 통해 '소통 의도와 결과' 사이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고민하며, 스스로 성찰하며 적용해 보았습니다. 효과적인 소통은 단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을 통해 발전해 나가는 과정같습니다. 이번 아티클을 작성하면서, 아직도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다른 리더님들도 저의 소통 경험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더욱 성숙한 소통 리더십을 발휘하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