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두 가지 세상, 두 가지 배움 대기업과 스타트업은 HR 담당자로서 저에게 전혀 다른 세상처럼 느껴졌습니다. 각각의 환경이 제공하는 배움의 기회는 독특하고, 때로는 도전적이었죠. 저는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오가며 두 환경에서 HR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는지를 몸소 경험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느꼈던 차이점과 HR 담당자로서의 성장 이야기를 짧게 나마 공유하려고 합니다. 1. 대기업 HR: 체계적인 계획과 안정성 대기업에서의 HR은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환경을 바탕으로 운영됩니다. 모든 것이 계획대로 돌아가는 듯 보이지만, 그 속에는 세심한 조율과 보고 과정이 숨어 있습니다. 1) 체계와 시스템 속에서의 HR 제가 대기업에서 신규입사자 온보딩 프로그램을 준비할 때, 단순한 프로그램 설계 이상의 과정을 거쳤습니다. 매번 10여 차례의 팀장/임원 보고를 거쳐야 했고, 수십 번의 PPT 수정과 피드백을 반복했습니다. 처음엔 이 긴 의사결정 과정이 답답하게 느껴졌지만, 어느 순간 깨달았죠. “이 모든 과정이 결국 조직을 더 안정적으로 만드는 핵심”이라는 점을요. 2) 안정된 리소스와 예산의 강점 대기업에서의 HR은 이미 확보된 리소스와 예산을 바탕으로 일합니다. 정확한 예산 계획과 시스템 덕분에, “하고 싶다”가 아닌 “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죠. 물론, 이런 안정감은 의사결정 속도가 느린 점과 맞물려 아쉬움으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2. 스타트업 HR: 유연함과 빠른 실행력 반면 스타트업은 “어떤 일이든 내가 해내야 한다”는 각오로 일해야 했습니다. HR이라는 역할도, 상황에 따라 늘 바뀌는 퍼즐처럼 느껴졌죠. 1)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변하는 HR 스타트업에서는 사업의 방향성에 따라 HR 전략이 자주 변경됩니다. 한 번은 채용이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사업 전략이 급히 바뀌어 채용을 멈춘 적이 있었습니다. 이때 저는 채용 중단을 후보자들에게 직접 설명하고 사과해야 했습니다. 이런 돌발 상황은 어려웠지만, 유연하게 대응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죠. 2) “Learning by Doing”의 매력 스타트업의 HR은 실전 중심의 학습을 요구합니다. 매뉴얼도, 가이드도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 방법을 찾아 실행해야 했습니다. 이런 환경은 저에게 도전과 성장을 동시에 안겨주었습니다. (이미지 : chatGPT가 그린 대기업 vs 스타트업" 모습) 3. 두 환경의 공통점과 차이점: 당신의 선택은? 대기업과 스타트업은 극명한 차이를 보이지만, HR로서의 본질적인 역할은 같습니다. 대기업에서는 체계와 안정성을 통해 깊이를 배울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에서는 유연함과 속도를 통해 넓이를 배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자신에게 맞는 환경을 찾는 것입니다. 안정된 환경에서 일하며 전문성을 기르고 싶으신가요? 아니면 역동적인 도전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싶으신가요? Outro: 두 가지 세상, 두 가지 배움 저는 '대기업처럼 탄탄한 시스템/인프라에 스타트업 같은 혁신성/문화를 담아내는 HR”을 하고 싶어요. 작은 스타트업도 성장을 거듭하다 보면 언젠가 큰(大)기업이 될테니까요. 그렇기에 저에게 있어서 대기업과 스타트업에서의 경험이 모두 소중합니다. 각각의 환경에서 배운 것들이 결국 저를 더 나은 HR로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죠. 여러분은 어떤 환경이 더 적합한 것 같으신가요? 내가 어떤 것에 보람을 느끼고 성장감과 성취감을 느끼는지 한번 생각해 보세요. 객관적인 자기인식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선택을 통해 HR로서의 성장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원티드 HR프렌즈콘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잇다 : HR의 역할 변화"을 위해 준비했던 대본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더욱 상세한 내용은 영상시청을 추천 드려요)